와디즈의 오프라인 ‘공간 와디즈’

Space

성수동에 위치한 ‘공간 와디즈’ 전경

성수동에 위치한 ‘공간 와디즈’ 전경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와디즈(대표 신혜성)가 지난 22일 와디즈의 오프라인 버전인 ‘공간 와디즈’를 공식적으로 선보였다.

최근 낡음과 새로운 것들이 공존하며 핫스팟으로 자리잡은 성수동 골목에 지하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총 4개층 전욕면적 1133㎡(343평) 규모로 구성한 것.

온오프라인 연계사업의 일환으로 기존 온라인 환경의 한계를 넘어 메이커와 서포터 간의 소통을 강화하고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공간 와디즈’는 단순히 판매를 위한 오프라인 스토어가 아닌 와디즈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는 경험에 집중했다. 이러한 콘셉트는 1층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300a5acb2c2ab3f068f88ddf103dcacb_1587545540_1655.jpg
현대 와디즈 펀딩 중인 상품을 경험할 수 있는 1층 공간

현대 와디즈 펀딩 중인 상품을 경험할 수 있는 1층 공간

오프라인의 핵심 공간인 1층을 판매하는 공간이 아닌 현재 와디즈에서 펀딩을 진행하고 있는 상품을 소개하는 전시공간으로 꾸몄다. 

세상에 없는 상품을 소비자들의 펀딩을 통해 세상에 선보이게 되는 크라우드 펀딩 특성상 정확한 정보 없이 상품을 구매하게 되고, 상품 수령 후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우도 많았다. 

테크·가전부터 패션·잡화, 홈리빙, 뷰티, 푸드 등 다양한 카테고리를 선보이고, 메이커는 새로운 제품을 홍보하는 공간, 서포터는 직접 만져보고 경험하고 구매할 수 있는 형태다.

실제로 ‘공간 와디즈’ 프리오픈 기간 중 패션 잡화 브랜드 ‘제누이오’는 펀딩과 동시에 시착이벤트를 진행하며 펀딩에서 18억 원을 모집하는데 성공했다.

‘제누이오’ 성율덕 대표는 “프리 오픈 기간 중 공간 와디즈에서 페르페토 스니커즈 시착 이벤트를 진행하며 공간에 방문한 서포터들에게 사이즈 결정에 도움을 주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다”며 “제품에 대한 실제 피드백을 통해 개선점까지 도출할 수 있어 다음 스텝을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2층에는 종전 펀딩을 성공적으로 끝낸 상품들을 판매하는 ‘메이커 스토어’와 1인 창작자나 창업자들이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이 있다. 메이커와 서포터가 서로 공존하고 협력하는 공간을 지향한다.

와디즈 펀딩을 성공적으로 마친 상품들을 판매하는 2층 ‘메이커 스토어’

와디즈 펀딩을 성공적으로 마친 상품들을 판매하는 2층 ‘메이커 스토어’

3층은 루프탑으로 영화 시사회 및 공연, 네트워킹 파티 등 메이커가 서포터를 위한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는 장소로 사용될 예정이다.

지하는 스퀘어 공간으로 IR 행사나 토크콘서트, 강연, 교육 행사 등 스타트업의 성장을 돋는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는 다목적 공간이다. 

와디즈 신혜성 대표는 “공간 와디즈는 새로운 시도를 끊임없이 펼쳐 나가는 메이커와 이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마음으로 참여하는 서포터의 만남과 소통이 이뤄지는 곳이다. 앞으로도 메이커와 서포터를 잘 연결할 수 있는 쌍방향 소통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에 집중하여 다양한 도전이 지속되는 창업 생태계 마련에 힘 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각종 행사를 진행하는 3층 ‘루프탑’

각종 행사를 진행하는 3층 ‘루프탑’

 

출처 : 패션포스트 / www.fpost.co.kr

와디즈, 패션•잡화 분야 전년 대비 217% 성장

Market

3de0cc61bc2a304d695cba2ddb5099dd_1581378916_0679.jpg
 

라이프스타일 투자플랫폼 와디즈(대표자 신혜성)가 패션 산업을 이끌어 갈 메이커를 모집하기 위한 기획전 '프로젝트 런웨이 와디즈'를 시작한다.

지난해 와디즈 리워드형 펀딩 내 패션·잡화 분야는 235억원을 모집하며 전년대비 217% 성장했고, 한 해에만 2,328건이 개설되어 오픈건수 역시 149%나 증가해 성장을 크게 견인했다.

이미 와디즈에선 스니커즈 '블루피치', 프리미엄 코트 '히든메이커스'등 패션 메이커가 평균 2억원 이상을 모집하며 디자이너 브랜드의 런칭 무대로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신세계인터내셔날 사내벤처팀 '플립', 코오롱FnC '헤드스포츠', 인디에프 '트루젠'등 와디즈를 신제품의 정식 유통채널로 삼는 중견, 대기업의 참여도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배경에는 크라우드펀딩 방식이 선주문을 통해 수요를 예측할 수 있어 재고부담을 줄일 뿐 아니라 소비자 반응까지 미리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유통채널로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기획전은 패션•잡화 분야 내 펀딩을 희망하는 메이커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특히, 펀딩 목적과 제품 컨셉에 맞춰 리워드 전문PD를 통해 개별 컨설팅을 받고 프로젝트를 오픈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와디즈는 오는 28일까지 순차적으로 메이커를 선정해 공개할 예정이며 선발된 메이커는 성공적인 펀딩을 위한 콘텐츠 제작부터 SNS홍보, 와디즈 마케팅 채널 홍보 등 다양한 지원을 받게된다. 

와디즈 황인범 이사는 “프로젝트 런웨이 와디즈는 수요 예측에 어려움을 겪는 패션•잡화 분야 메이커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오랜 시간 고민해 마련했다”며 “다양한 혜택을 준비한만큼 패션 트렌드를 이끌어갈 예비 메이커들의 도전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 

 

출처 : 패션 포스트 / www.fpost.co.kr

와디즈, 문제있는 상품, 서비스 펀딩금 돌려준다

Market

IMG_0128.JPG
 

이달 17일부터 앞당겨 반환 시작

시행일 이전 펀딩은 소급안돼


투자플랫폼 와디즈(대표 신혜성)가 생산이 지연되거나 기능, 성능에 문제가 있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금액을 펀딩 참여자들에게 돌려준다.

와디즈는 당초 오는 3월부터 시작할 계획이던 ‘펀딩금 반환 정책’을 이달 17일로 앞당겨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와디즈의 펀딩금 반환 정책은 최대 지연일까지 생산 불가가 예상되는 해당 상품에 대한 ‘지연 반환’과 기능이나 성능의 결함, 하자가 있는 서비스나 상품에 대한 ‘하자 반환’으로 구분된다.

반환 대상은 정책 시행일자인 17일을 기준으로 펀딩이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 그리고 신규 오픈 프로젝트다. 시행일 이전 종료 프로젝트에 대한 소급은 되지 않는다.

펀딩 참여자가 펀딩금을 돌려받기 원할 경우 와디즈 홈페이지 내에 공지된 전용 채널을 통해 직접 신청 후 반환이 확정되면 카드 결제 취소 방식으로 펀딩금액을 돌려받게 된다.

 

출처 : 패션포스트 / www.f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