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6 fw 남성 패션쇼를 통해 본 10가지 트렌드

Trend

 

2025/26 가을 겨울 남성쇼는 넥타이의 귀환으로 남성적 우아함이 다시 돌아왔음을 확실히 보여준 패션쇼였다. 코로나 사태 이후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정장은 옷장의 필수 아이템이 되었고, 너무 헤비하진 않지만 좀 더 격식 있는 방식으로 입기도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일반적인" 컷과 뉴트럴 또는 가을 색조(바랜 녹색, 황토색, 보라색, 초콜릿색)를 선호함으로서 세련되고 편안한, 단순하지만 질 좋은 옷을 입고 싶어하는 진정한 욕구가 반영된 듯 하다. 지난달 말에 끝난 피렌체, 밀라노, 파리의 남성 패션쇼에서는 아우터를 통한 방어적 경향과 밀리터리 룩으로의 현저한 복귀가 보였으며, 과거에 대한 향수, 아늑하고 고치 같은 옷으로 자신을 보호하려는 경향 역시 드러났다.


1. 넥타이 정장

2025년에는 쓰리피스 슈트와 넥타이가 더 이상 금기시되지 않는다. 럭셔리한 스트리트웨어는 컬렉션에서 거의 사라지고 뉴트럴 색상 팔레트의 맞춤형 옷장으로 대체되고 있다. 착용하기 쉽고 매치하기 쉬우며, 컷, 디테일 또는 소재에 항상 우아함이 느껴진다. 플리츠 바지는 느슨하고 편안하며, 때로는 발목 부분이 조여지기도 하고(끝을 접어 올린 버전도 유행이다), 더블 브레스트나 두 개의 단추가 달린 재킷은 전통적인 남성 원단과 최상의 캐시미어로 제작된다.

단추 구멍에 꽃이 달린 정장은 때로는 가슴을 드러내기도 하고, 때로는 티셔츠나 보트넥 스웨터 위에 입기도 하며, Junn.J에서는 헐렁한 청바지와 함께 입기도 하지만, 특히 셔츠와 넥타이의 조합이 함께 보여지며 넥타이가 다시 유행하고 있다. 키드슈퍼는 단추를 채우고, 우영미는 발렛 스튜디오처럼 셔츠와 같은 흰색 팝린을 사용, 수트와 같은 원단을 사용했으며, 월터 반 바이렌동크 작품도 톤온톤이다 . 마글니아노는 회색 펠트로 넥타이를 제작했고, 조던루카는 그림으로 넥타이를 표현했으며, 두 남자가 키스하는 모습을 담았다.


2. 재킷 겹쳐입기

다음 겨울을 대비해 여러 겹의 옷을 입는 것이 실루엣으로 제안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소매가 있는 두 벌의 옷을 겹쳐 입는 새로운 유행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특히 재킷과 코트의 경우가 그렇다. 프라다에서는 녹색 다운 재킷 위에 갈색 재킷을 겹쳐 입은 것처럼 두 개의 동일한 제품을 겹쳐 입기도 하고, 돌체앤가바나에는 는 가죽 재킷과 트위드 재킷을 겹쳐 서로 다른 제품과 소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사카이에서는 트롱프뢰유 기법을 사용하여 재킷의 칼라와 옷깃을 표현했다. 오피신 제네랄에서는 비슷한 모델의 재킷이나 오버셔츠를 쌍으로 사용하기도 했는데, 한 장은 입고 다른 한 장은 허리에 묶었다. 메종 미하라 야스히로에서도 동일한 아이디어를 적용, 한쪽 셔츠는 입고 다른 한쪽은 목에 두르는 방식이다.


3. 타탄 체크

다양한 색상으로 변형되는 타탄 체크 원단은 주로 회색 톤의 우아한 코트와 정장에 사용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셔츠와 재킷도 보인다. 준야 와타나베는 이번 자신의 컬렉션을 이 주제로 수놓았다. 이 체크 무늬는 펑크한 느낌의 재킷과 바지에서도 매치되는데, Jeanne Friot(빨간색과 검은색)나 Comme des Garçons Homme Plus와 같은 브랜드이다. 또 다른 제안은 헤드 마이너나 피에르 루이 마시아가 플레드 무늬를 케이프 코트로 변형한 것이다. 이와 함께 세련된 스코틀랜드풍 스카프도 잊지 말자.


4. 볼륨 효과

진짜나 가짜 모피로 만든 후드가 달린 코트와 재킷, 다양한 색상의 옷과 넓은 모피 칼라, 울 프린지로 장식된 볼륨, 양가죽 재킷. 그리고 양털 디테일 역시 원한다면 찾을 수 있다. 이번 시즌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면서도 매우 편안한 겉옷을 흔히 볼 수 있었는데, 조개 껍질을 닮은 오버 사이즈 니트웨어도 마찬가지이다.


5. 밀리터리 룩

이번에는 밀리터리룩에서 온 실루엣이나 컬렉션이나 올리브 녹색이 없는 컬렉션은 없다고 해도 과인이 아니다. Kidsuper와 Juun.J 부터 Kolor의 트렌치코트, 요지 야마모토의 카키색 퀼팅 다운 세트 , Pierre-Louis Mascia의 장교 재킷까지. 메종 미하라 야스히로는 마치 미국의 군수품에서 나온 것 같은 낡고 오래된 캔버스 재킷 시리즈를 선보였다.


6. 퀼팅 소재

퀼팅 소재가 남성용 옷장에 침투하면서, 편안함을 유지하면서도 점점 더 우아해지고 있다. 더 이상 전형적인 퀼팅 재킷에 국한되지 않고, 밝은 빨간색의 반짝이는 질감으로 급진적으로 활력을 불어넣은 Jeanne Friot의 재킷, Yohji Yamamoto의 정장, 3. Paradis의 크리스털로 장식된 하늘색 바지, Wooyoungmi의 꽃무늬 실크 코트, 그리고 Kidsuper의 스키에 적합한 밀리터리 복장과 같은 다른 고전의 영역도 차지한다.


7. 트위드 자켓

트위드는 겨울의 주요 트렌드 중 하나이며, 특히 금색 단추가 달린 재킷이나 카디건으로 출시되어 남성복 옷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유명한 샤넬 슈트 모델을 재차 연상시킨다. 우리는 윌리 차바리아, 더블릿, 메종 미하라 야스히로, 사이먼 크래커에서 이러한 현상을 발견했다 .


8. 아가일 스웨터

부르주아 패션의 또 다른 상징인 아가일 패턴 스웨터가 2025/26년 가을, 겨울에 처음으로 선보인다. 세련되고 복고적인 룩을 지닌 이 니트는 남성복 시장에서 조심스럽게 컴백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의 시즌에서 확실히 확인될 것이다. 이 트렌드는 Kolor, 루이비통, Simon Cracker에서 주목 받았다 .


9. 레오파드 코트

이 얼룩덜룩한 코트는 몸을 감싸고 위압감을 주며, 다음 겨울의 단정한 남성복 옷장에 주목할 만한 변혁을 예고한다.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해 줄 뿐만 아니라, 남자의 저녁 파티에 바로 착용할 수 있다. 이 제품들은 루이비통, 돌체앤가바나, 랑방의 쇼에서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고 , 032센트에서 린스 모피 효과가 있는 펠트 울 소재의 코트가 판매되었다.


10. 울 장갑

손으로 짠 울 장갑은 내년 겨울에 유행할 최신 스타일이 될 것이다. 목에 끈을 매달거나 재킷 소매에 꿰어 고정하면 된다. 그것들을 거의 모든 곳에서 보여졌다. 앳 컬러, 지기 첸, 오랄리, 우영미 등이 있는데, 3.Paradis의 경우 장갑은 퀼팅 나일론으로 만들어졌으며 흰색 스키복과 어울린다.

 

출처 : 패션넷워크 닷컴

Barbour와 Erdem의 새로운 협업 컬렉션

Market

 

이전 런웨이 콜라보레이션에 이어 패션 브랜드 Erdem과 Barbour가 다시 한팀을 이룬 컬렉션을 선보인다. Barbour X Erdem 컬렉션은 Barbour의 아우터웨어 스타일 4가지(Beauflower, Dhalia, Clover, Constance)를 Erdem의 시그니처 플로럴 프린트로 장식한 제품들로, 샌드와 올리브 컬러로 출시된다.

이번 컬렉션을 위해 Erdem의 디자이너 Erdem Moralioglu는 고인이 된 데번셔 공작부인 Deborah Cavendish의 옷장에서 영감을 얻었다.

“저는 바버의 특별한 아카이브, 특히 그들이 제작해온 제품과 하드웨어에 영감을 받았고, 실용적인 디테일을 변형하여 그것들을 제 여성복 언어와 결합하는 아이디어가 좋았습니다.”

– Erdem Moralioglu-

Barbour의 여성복 디렉터인 Nicola Brown은 새로운 이번 협업 컬렉션이 "시대를 초월한 장인 정신과 퀄리티를 Erdem의 낭만적이고 현대적인 접근 방식과 결합해 브랜드의 상징적인 실루엣, 그리고 왁스 원단으로 표현했흡니다”고 말했다. 이 컬렉션은 또한 거의 모든 스타일에서 실용적인 디테일과 분리형 후드를 특징으로 한다.

 
 

이 새로운 캡슐 컬렉션의 일환으로 Erdem과 Barbour는 'Re-Loved' 이니셔티브에 협력했다. 이 이니셔티브에서는 25개의 중고 Beaufort 재킷에 오버사이즈 코듀로이 칼라와 실버 하드웨어 아이릿을 더해 리폼 했으며, Erdem의 2024년 봄 런웨이 쇼에서 영감을 얻었다.

 

참조 : 더임프레션닷컴

2025 fw 루이비통 맨즈쇼에서 퍼렐 윌리엄스와 니고 재회

Market

 

Forever Phriends: Nigo와 Pharrell의 ‘Dandy Streetwear’

지금 진행되고 있는 2025 FW 남성 컬렉션의 가장 큰 이슈는 단연 Pharrell Williams를 디렉터로 Nigo와 협업한 루이비통의 남성쇼일 것이다.

윌리엄스는 그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번 협업을 암시해왔으며, 이후 루이비통이 공식 인스타그램에 이 프로젝트를 공식 발표하면서 그 기대감은 절정에 달했었다. 프로젝트의 홍보 이미지는 윌리엄스와 니고가 다양한 가방과 대학 재킷, 스니커즈로 둘러싸여 있는 모습을 어안 렌즈로 촬영한 컨셉이다.

 
 

이번 재회는 두 사람의 커리어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두 사람 모두 2003년 Billionaire Boys Club과 Icecream이라는 브랜드를 설립한 것을 포함, 스트리트웨어 분야에서 심도있는 스토리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2004년 Louis Vuitton의 Millionaires 1.0 선글라스에 대한 초기 작업도 포함된다. 두 사람의 노력은 스트리트웨어와 하이 패션을 연결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었다.

LVMH CEO 베르나르 아르노는 루이비통이 단순한 패션 브랜드라는 관점을 넘어 훨씬 더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문화적 현상이 되었다고 말했는데, 이번 2025년 가을 프레젠테이션은 그 비전을 구체화한 것으로 보인다. 퍼렐과 오랜 친구이자 협력자인 니고가 유명 럭셔리를 위해 오래도록 기다려온 크리에이티브를 융합하였다.

 
 

이번 루이비통 맨즈 쇼는 "Remember The Future"라는 제목으로 오늘 큐레이팅된 전시와 같은 맥락을 이뤘고, 브랜드의 각 아카이브를 반영하는 라이브 런웨이가 있었다. 오늘 쇼 세트의 일부는 루이비통과 페럴, 그리고 니고의 컬렉션들을 엿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더할 나위 없었다. 전시된 제품들에는 Marc Jacobs의 헤드폰 핸드백, Takashi Murakami와 협업한 Louis Vuitton Courrier 트렁크, Pharrell이 맞춤 제작한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A World's End 모자, 슈프림과 협업한 Kim Jones의 루이비통 야구 글러브, Virgil Abloh의 Louis Vuitton Varsity 재킷이 있었으며, 이 "LVERS 아카이브"는 고객, 에디터, 구매자 및 패션 관계자들이 이러한 컬렉션을 보기 위해 모여들게 만들었다,

 
 

럭셔리 산업의 매출이 둔화되는 시점으로 접어들면서, 브랜드의 문화 및 체험의 확장이 앞으로의 나아갈 길이라는 주장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순수한 구매를 넘어 더 실험적인 시도를 통해 고객을 브랜드의 세계로 초대하고, 특히 럭셔리 브랜드가 절실히 되찾고 싶어 하는 열망을 가진 고객으로부터 그들이 원하는 포인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참조 : 더임프레션 닷컴

2025년 프리폴 색상 트렌드: 'Wicked'에서 영감 받은 핑크와 그린 톤

Market

 

작년 11월 22일에 오픈한 영화 위키드'는 엄청난 흥행을 몰고왔다. 이 영화는 이미 브로드웨이 역대 최고 수익을 올린 뮤지컬을 원작으로 하는 작품으로, 2024년 12월 중순까지 영국에서만 약 3억 9,24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이 영화는 차별과 편견에 맞서는 우정과 용기에 대한 설득력 있는 스토리라인을 가지고 있으며, 무대 디자인와 의상은 진정한 시각적 향연을 보여준다. 갈린다의 분홍색 의상은 푸른 쉬즈 대학교를 배경으로 매우 돋보이는데, 이후 두 친구가 에메랄드 시티로 여행을 떠날때는 자연스럽게 녹색 팔레트 배경으로 바뀐다.

2025년 프리폴 컬렉션에도 이런 위키드의 영향으로 보이는 핑크와 그린이 많이 등장했다. 장미빛 색조의 인기는 2023년 여름, 영화 '바비'의 성공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그린 색조는 자연과 관련된 모든 것과 연결되어 여러 시즌 트렌드를 이루어왔다. 현재 2025 프리폴 컬렉션에서 선보인 핑크와 그린 룩들을 소개한다.


Coming up roses

Stine Goya

Stine Goya Pre-Fall 25 Credits: Stine Goya Pre-Fall 25 / ©Launchmetrics/spotlight

 

Rabanne

Rabanne Pre-Fall 25 Credits: Rabanne Pre-Fall 25 / ©Launchmetrics/spotlight

 

Stella McCartney

Stella McCartney Pre-Fall 25 Credits: Stella McCartney Pre-Fall 25 / ©Launchmetrics/spotlight

 

Victoria Beckham

Victoria Beckham Pre-Fall 25 Credits: Victoria Beckham Pre-Fall 25 / ©Launchmetrics/spotlight

 

Markarian

Markarian Pre-Fall 25 Credits: Markarian Pre-Fall 25 / ©Launchmetrics/spotlight


The Emerald City

Max Mara

Max Mara Pre-Fall 25 Credits: Max Mara Pre-Fall 25 / ©Launchmetrics/spotlight

 

Roberto Cavalli

Roberto Cavalli Pre-Fall 25 Credits: Roberto Cavalli Pre-Fall 25 / ©Launchmetrics/spotlight

 

Huishan Zhang

Huishan Zhang Pre-Fall 25 Credits: Huishan Zhang Pre-Fall 25 / ©Launchmetrics/spotlight

 

Valentino

Valentino Pre-Fall 25 Credits: Valentino Pre-Fall 25 / ©Launchmetrics/spotlight

 

Jonathan Simkhai

Simkhai Pre-Fall 25 Credits: Simkhai Pre-Fall 25 / ©Launchmetrics/spotlight

 

출처 : fashionunited.com

패션 디지털 기술 트렌드 2025

Market

 

패션 산업의 디지털 적용이 진화함에 따라, 2025년은 이 분야의 모든 측면을 재정의할 획기적인 기술 발전의 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자인에서 리테일까지 디지털 기술은 브랜드의 운영을 간소화해줄 뿐만 아니라 소비자 참여에 혁신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 패션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형성하는 주요 트렌드를 살펴보자.


AI의 시각적 콘텐츠 제작

인공 지능은 패션 브랜드가 시각적 스토리텔링에 접근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것이다. 상당한 리소스와 시간이 필요한 전통적인 사진 촬영 작업은 점점 AI가 생성한 이미지로 대체되고 있다. 고급 AI 도구는 새로운 컬렉션을 입은 매우 사실적인 모델의 이미지를 만들어 실제 사진 촬영의 필요성을 반감시켰다. 이 혁신은 제작 비용을 줄일 뿐 아니라 탁월한 유연성을 제공하여 브랜드가 변화하는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비주얼을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한다.

AI를 활용한 패션 트렌드 예측

AI 도구는 글로벌 데이터를 분석하여 놀라운 정확도로 패션 트렌드를 예측한다. 이것은 소셜 미디어에서의 대화, 런웨이 하이라이트, 소비자 구매 행동을 추적함으로써 브랜드가 이러한 경향을 앞서 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소비자 선호도에 맞는 컬렉션을 디자인하고 창의성과 상업적 성공 모두를 만족시키는데 매우 유용할 것이다.

투명성을 위한 블록체인

윤리적 관행과 투명성은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하다. 블록체인 기술은 공급망 전반에 책임을 보장하는 도구로서 지속적으로 주목 받을 것이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의류 유통 및 생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기술은 특히 환경을 의식하는 소비자 사이에서 신뢰와 충성도를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AI 인플루언서의 활약

AI로 구동되는 디지털 인플루언서가 2025년에 다시 주목 받을 것으로 보인다. 현신감있는 생생한 외모와 매력적인 페르소나로 디자인된 이러한 가상 인격들은 브랜드에 스토리텔링과 소비자 참여를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인간 인플루언서와 달리 AI 인플루언서는 브랜드의 정체성을 완벽하게 구현하도록 맞춤화할 수 있어 타겟 마케팅 캠페인에 귀중한 자산이 될 수 있다.

AI 기반 예측 : 판매 및 재고 관리 혁신

인공 지능은 판매 예측 및 재고 관리에 혁명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AI는 소비자 수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제공하여 브랜드가 재고 수준을 최적화하고 과잉 생산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브랜드는 더 정확한 매장 내 상품 할당의 혜택을 누리며 인기 있는 품목들을 지속적 공급하면서도 과도한 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데이터 중심 접근 방식은 수익성과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할 것이다.

공급망 혁신: 운영 소프트웨어 중심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는 패션 산업에서 항상 중요했었다. 그리고 2025년에는 그들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고급 도구를 사용하면 제조업체, 공급업체, 리테일러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져 지연이 줄어들고 투명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플랫폼은 실시간 데이터 공유를 통합하여 이해 관계자가 시장 수요에 신속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도구를 채택하는 회사는 재고를 최적화하고 낭비를 줄임으로써 상당한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숏폼 비디오 콘텐츠의 증가

Instagram 및 TikTok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계속해서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지배하고 있다. 2025년에는 숏폼 홍보 비디오가 소비자들을 사로잡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향후 패션 브랜드는 보다 젊고 디지털에 익숙한 소비자에게 공감을 얻는 콘텐츠를 만드는 데 많은 투자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럴을 위해 디자인된 이러한 영상들은 컬렉션의 핵심 상품을 강조하고, 비하인드 스토리를 선보이며, 고객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작업들과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메타버스: 절제된 존재감

메타버스는 최근 몇 년 동안 꽤 유행이였지만, 2025년까지는 패션 산업에서 인기를 얻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브랜드는 특히 틈새 마케팅과 한정판 이벤트를 위해 가상 현실을 지속적으로 실험할 것으로 보인다. 메타가 레이밴과 협업한 증강 현실 안경은 웨어러블 기술이 디지털과 물리적 세계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여 소비자에게 패션과 디지털이 상호 작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한 예이다.

모바일 전자상거래의 성장

모바일 전자상거래는 2025년에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소비자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한 쇼핑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되기 때문이다. 전반적인 전자상거래 성장은 완만하겠지만 모바일 플랫폼이 그 시장을 주도할 것이며, 브랜드는 원활한 모바일 경험을 위해 웹사이트와 앱을 최적화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개인 맞춤화 추천, 원클릭 구매, 가상 체험과 같은 기능은 브랜드가 혼잡한 디지털 시장에서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경쟁함에 따라 업계 표준으로 자리잡을 것이다.

 

출처 : fashionunited.com

2025년 럭셔리 시장 전망

Market

 

2025년이 다가오면서 럭셔리 시장은 그 궤적이 바뀔 수 있는 상당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경제적, 정치적, 소비자 중심적 요인이 혼합되어 시장의 수요, 혁신, 성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그 어느때보다도 높아졌다.


시장의 불확실성

글로벌 럭셔리 산업은 주요 지역의 불균형한 성장과 소비자 지출 습관의 변화로 인해 경제적 예측이 상당히 어려운 기간을 헤쳐 나가고 있다. 미국의 잠재적 관세 정책과 같이 정치적 영향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가중시킨다. 예를 들어, 유럽 상품에 대한 관세 인상은 주요 럭셔리 업체의 수익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역풍으로 인해 브랜드는 주요 시장에서 수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 책정 및 공급망 전략을 재편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의 영향은 특히 신흥 시장에서 두드러지는데, 통화 변동성과 변화하는 규제 환경이 추가적인 과제를 안겨준다. 럭셔리 브랜드는 보다 정교한 전략을 구현하고 제조 기반을 다각화함으로써 대응하고 있다. 여기에는 공급망 위험을 완화하고 단일 시장 취약성을 줄이기 위해 전략적 위치에 생산 시설을 설립하는 것이 포함된다. Hermès와 Chanel과 같은 회사가 이러한 추세를 선도하고 있으며, 여러 지역에 걸친 수공예 장인 워크숍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다.


중고 명품 시장 활기

지속 가능성과 저렴함이 중고 명품 시장의 붐을 주도하고 있다. 소비자, 특히 젊은 소비자는 럭셔리 소비를 환경 의식적 가치와 일치시키기 위해 재판매 플랫폼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중고 명품이 보다 주류가 되면서 전통적인 독점 개념에 도전하고 있다. 브랜드는 이 영역을 통합하여 환매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리세일 마켓플레이스와 협력하여 진화하는 고객 선호도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리세일 시장의 성숙으로 정교한 인증 기술과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졌다. 블록체인 기반의 진위 인증서와 AI 기반 상태 평가 도구가 업계 표준이 되고 있다. 주요 럭셔리 그룹도 고가 품목에 대한 분할 소유권 및 구독 서비스를 포함한 혁신적인 소유권 모델을 모색하고 있으며, 기존 소유권 패러다임이 차세대 럭셔리 소비자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정치적 영향

정치적 요인이 럭셔리 시장의 변동에 점점 더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유럽 상품에 대한 관세 제지와 같은 무역 정책은 브랜드가 비용을 흡수하거나 가격을 인상해야만 하는 어려운 선택을 강요할 수 있다. 또한 중국과 같은 주요 시장에서 진행 중인 규제 변화와 지정학적 긴장은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전략적 민첩성이 중요해지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업계는 공급망과 제조 관행, 특히 노동 조건과 환경 영향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는 것을 목격했다. 이로 인해 럭셔리 브랜드는 투명성 이니셔티브와 지속 가능한 생산 방법에 많은 투자를 하게 되었으며, 일부 브랜드는 정부 기관과 협력하여 윤리적 럭셔리 생산에 대한 업계 전체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이로인해 지속 가능성 목표에 대한 정치적 일치가 기존 브랜드 포지셔닝만큼 중요해지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소비자 행동 변화

현대의 럭셔리 소비자는 업계를 재정의하고 있다. 지속 가능성, 개인화, 디지털화는 구매 결정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고 있다. 소비자는 독특한 경험을 추구하고, 개인적 가치를 반영하는 브랜드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기 위해 기업은 AI와 같은 첨단 기술에 투자하고 메타버스를 포함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맞춤형 몰입형 경험을 만들고 있다.

소셜 커머스와 인플루언스 마케팅의 부상은 럭셔리 브랜드가 고객과 소통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 가상 시착, 증강 현실 쇼핑 경험, AI 기반 개인 스타일링 서비스가 표준 상품이 되고 있다. 럭셔리 하우스는 또한 Web3 기술을 도입하여 독점적인 디지털 커뮤니티와 보상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으며, 럭셔리의 미래는 아날로그적인 장인 정신과 디지털 혁신의 교차점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전반적인 수요 감소

경제적 어려움과 소비자 우선순위의 변화가 중심이 되면서 럭셔리 상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분석가들은 시장 전반의 성장이 단기적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많은 회사가 수익을 유지하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을 조정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이러한 역풍 속에서 성장을 지속하려면 다각화, 디지털 혁신, 신흥 시장에 대한 전략적 투자가 필수적일 것이다.

이러한 침체는 제품만이 아닌 경험과 서비스를 통한 가치 창출의 전략적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럭셔리 브랜드는 호스피탈리티 서비스를 확대하고, 멤버 전용 공간을 만들고, 포괄적인 라이프스타일 생태계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미래 성장이 소비자 기반을 확대하는 것보다 기존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는데 달려 있다는 보다 광범위한 이해를 반영하며, 이는 보다 정교한 고객 유지 전략과 개인화된 서비스로 이어진다.


*요약

  • 경제적 불확실성, 정치적 요인(관세 등), 변화하는 소비자 선호도 등이 럭셔리 시장을 재편하고 있다.

  • 지속 가능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중고 명품 시장이 성장하면서 기존 모델에 도전하고 브랜드 적응이 촉진되었다.

  • 럭셔리 브랜드는 수요 감소에 대응하고, 소비자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디지털 혁신, 개인화된 경험, 지속 가능한 관행을 우선시해야 한다.

 

Pinterest가 예측한 2025년 패션 트렌드

Trend

 

Pinterest는 2025년 패션 예측을 공개하면서 향수, 지속 가능성, 대담한 자기 표현을 혼합한 5가지 독특한 트렌드를 공개했다. 해양에서 영감을 받은 ‘Fisherman Aesthetic’에서 중세풍의 ‘Castlecore’에 이르기까지, 이것은 세대별 스타일, 지속 가능한 라이프, 창의적인 개인 표현을 믹스하고 있다. 이 트렌드는 패션이 중심이긴 하지만 더 광범위한 문화적 변화에 대한 통찰도 가지고 있으며, 상당한 검색량 증가는 이러한 새로운 미학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커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패션이 점점 더 개개인의 스토리텔링의 한 형태가 되어가는 세상에서, Pinterest의 최신 트렌드 예측은 내년의 스타일, 지속 가능성, 사회적 연결에 대한 설득력 있는 이야기를 제공한다.

디지털 트렌드 플랫폼은 2025년에 옷장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재편할 것으로 예상되는 5가지 주요 미적 움직임을 파악했다. 각 움직임은 현대 문화의 흐름의 섬세한 반응을 반영하고 있다.


1. The Maritime Metamorphosis

"Fisherman Aesthetic"가 놀랍게도 선두 주자로 등장, 케이블 니트 스웨터에 대한 검색량이 110%나 급증했으며, 물고기 테마 액세서리가 우리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다. 이 트렌드는 단순히 의류를 넘어 Z세대와 X세대 모두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여유있는 해양에서 영감 받은 라이프스타일로 더 광범위한 문화적 변화를 나타낸다.

정어리에서 영감을 받은 문신(80% 증가)부터 실용적인 어부 샌들(30% 증가)까지 항해적 요소가 특징인 이 트렌드는 진정성과 소박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집단적 열망을 보여줍니다.


2. Medieval Chic Meets Modern Sensibility

미니멀리즘 미학에서 벗어나 중세에서 영감 받은 "캐슬코어" 패션에 대한 검색이 110% 증가했다. 파란색 중세 드레스에 대한 관심이 85% 급증했고, 체인 목걸이와 앤틱 루비 반지는 역사적 낭만주의로의 복귀를 알린다.

이러한 추세는 단순한 옷차림에 그치지 않고 점점 디지털화되는 세상에서 스토리텔링과 현실 탈출에 대한 더 깊은 갈망을 시사한다.


3. Sustainable Futurism

‘Terra Futura’ 운동은 패션과 환경 의식의 중요한 교차점을 강조한다. 솔라 펑크 패션 검색이 무려 115% 증가하면서, 이 추세는 부머 세대와 X세대가 지속 가능한 삶을 열망의 라이프스타일로 재구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4. Synchronised Style

"Seeing Double"은 집단 표현의 사회적 시대정신을 보여준다. 커플을 위한 매칭 의상이 90% 증가하고 친구간의 앙상블을 조정하는 내용이 60% 증가하면서, 이러한 추세는 팬데믹 이후의 연결과 공유의 경험에 대한 욕구를 반영한다.


5. Rebellious Bohemian Edge

‘Moto Boho’는 아마도 가장 극적인 패션 변화를 나타내며, Boho에서 영감을 받은 룩은 무려 755% 증가했다. 모토 부츠(445% 증가)와 슬라우치 백(345% 증가)은 과격하고 자유로운 미학과의 융합을 나타낸다.


이러한 위 트렌드들은 피상적인 패션 진술 이상이다. 지속 가능성, 세대 간 대화, 개인적 표현, 집단적 정체성에 대한 복잡한 사회적 서사를 나타낸다.

2025년이 다가오면서 이러한 트렌드는 점점 더 유동적이고 의미 있고 상호 연결된 패션 환경을 시사한다. 스타일은 단순히 외모에 관한 것이 아니라 스토리를 전달하는 것이 아닐까.

 

출처 : fashionunited.co.uk

패션의 새로운 정점? The North Face x Skims 콜라보 컬렉션 출시

Market

 

아웃도어 퍼포먼스웨어의 테크닉과 인플루언서의 유명세를 합친 The North Face와 Skims의 협업은 스키 슬로프를 내려와 스키 라운지로 전환할 수 있게 기획되었다. 이 컬렉션은 The North Face의 주요 디자인과 Skims의 시그니처인 몸에 핏되는 실루엣을 차분한 색상으로 적용, 기능성과 하이패션의 매력 사이의 격차를 메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파트너십은 Skims가 Dolce & Gabbana, Swarovski와의 최근 협업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겨울 의류 분야에 다시 나타난 것을 의미한다. 12월 10일부터 출시되는 한정판 컬렉션에는 압축 베이스 레이어, 테크니컬 아우터웨어, 액세서리와 같은 품목이 포함되며, 가격은 60달러에서 1,200달러까지이다.

 

협업은 양날의 검일까?

이런 협업은 패션계에 널리 퍼져있지만, 이는 업계의 긴장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다. 한때 획기적인 파트너십에 국한되었던 협업 모델은 점점 더 과도하게 사용되는 마케팅 툴로 여겨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이러한 협업들에 피로감을 느끼기 시작했으며 모든 브랜드가 파트너십을 통해 과장된 제스춰를 취할 때, 눈에 띄기가 더 어려워졌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The North Face와 Skims의 결합은 브랜드가 어떻게 대상 고객을 확대하려고 하는지를 상징한다. The North Face의 경우, 이 협업은 Skims의 공동 창립자이자 전 세계적으로 추종자를 확보한 킴 카다시안의 영향력있는 세계로의 진입을 제공받는다. 반대로 Skims는 The North Face의 혁신적인 기술과 아웃도어 명성에서 혜택을 받기 위함이다.

캠페인 비주얼에 등장하는 킴 카다시안은 "The North Face와 협력함으로써 솔루션 기반 디자인 정신을 새로운 범주로 가져올 수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제가 슬로프에서 보낸 많은 시간들이 이 컬렉션을 개발하는 데 영감을 주었습니다."

The North Face의 협업 및 에너지 책임자인 데이비드 웻스톤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The North Face는 항상 문화를 주도하는 혁신적인 브랜드에서 영감을 받습니다. Skims와 협업함으로써 고객이 기대하는 성능과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디자인의 영역을 넓힐 수 있었습니다."

이 콜라보레이션의 바네사 비크로프트와 도나 트로프가 촬영한 두 가지 캠페인이 공개됬는데, 바람이 휘몰아치는 칠레의 봉우리에 다운 원피스와 심 테이핑 팬츠와 같은 아이템을 입은 카다시안 본인이 모델로 등장했다.

익스클루시브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 이 컬렉션은 두 브랜드의 뚜렷한 정체성을 혼합한 일련의 고급 컨셉의 디스플레이를 보여줄 예정이다.

 

이 전략의 성공은?

협업이 무대에 오르며, 이러한 파트너십을 둘러싼 과장 광고가 혼란한 시장속에서 지속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다. XXS에서 3X에 이르는 다양한 제품과 기능성에 관해 이 컬렉션은 모회사의 정체성을 희석하지 않으면서도 광범위하게 어필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 협업은 그 이상의 더 큰 트렌드를 강조한다. 즉, 서로 다른 브랜드의 결합을 통해 문화적 관련성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것이다.

 

출처 :fashionunited.uk

Pantone, 2025년 올해의 색상으로 ‘Mocha Mousse’ 선정

Market

 

최근 몇 년 동안 Pantone은 그해의 색상으로 코지 피치 , 활기찬 레드, 페리윙클 블루를 선택했다 . 다가오는 2025년, 색상의 세계적인 권위자 팬톤은 편안함과 웰빙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반영하는 감각적이고 편안한 부드러운 브라운 컬러 '모카 무스'를 선정했다.

공식적으로 팬톤 17-1230으로 알려진 '모카 무스'는 카카오, 초콜릿, 커피의 따뜻하고 풍부한 갈색 색조로, "그것에서 영감받은 즐거움과 맛"이라는 능력 때문에 선택되었다.

Pantone Color Institute의 전무 이사인 Leatrice Eiseman은 성명에서 "일상적인 즐거움에 대한 열망을 바탕으로 Pantone 17-1230 모카 무스는 깊은 탐닉을 표현합니다. 세련되고 호화롭지만 동시에 소박한 클래식입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모카 무스는 갈색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겸손하고 현실적인 것에서부터 야망과 사치스러움까지 포용하는 것으로 확장시킵니다. 미묘한 우아함과 흙빛의 세련미가 스며든 모카 무스는 단정하고 도도한 매력을 선사하며, 풍미 있고 감각적인 따뜻함으로 우리를 감싸줍니다."라고 덧붙였다.

Pantone은 자연의 세계와 더 긴밀해지는 움직임을 브라운 색조를 통해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으며, 유기적 특성을 가진 '모카 무스’가 우리의 물리적 환경의 생계를 존중하고 수용한다고 말한다. 또한 연상적인 부드러운 브라운이 현대와 시대를 초월한 아름다움 사이에서 ‘조화와 균형’을 찾는다고 믿는다.

Pantone Color Institute의 부사장인 로리 프레스먼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조화에 대한 끊임없는 추구는 관계, 우리가 하는 일, 사회적 관계, 우리를 둘러싼 자연 환경을 포함한 우리 삶의 모든 측면에 스며듭니다. 조화는 만족감을 가져다주고, 내면의 평화, 평온, 균형의 긍정적인 상태를 고취시키며, 우리 주변 세계와 조화를 이룹니다. 조화는 연결과 통합의 문화와 우리의 정신적, 영적, 신체적 웰빙의 종합을 포용합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Pantone Color of the Year 2025를 위해 편안함과 웰빙에 대한 우리의 욕구와 다른 사람들에게 선물하고 공유할 수 있는 단순한 즐거움에 대해 맞는 색상을 찾았습니다."

'모카 무스'는 고급스럽고 야심찬 브라운입니다.

Pantone은 '모카 무스'가 패션 산업에 “풍부한 중간톤”을 선사할 것이며, 브라운의 인식이 흙빛에서 더욱 고급스럽고 야심찬 톤으로 확장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 감각적 따뜻함이 부드러운 촉감의 직물, 버터 같은 질감의 가죽과 스웨이드, 푹신한 벨벳, 캐시미어, 앙고라와 털 많은 니트, "포근하게 감싸 안는" 모피 니트에 어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동시에, Pantone은 '모카 무스'가 가벼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투명하고 가벼운 쉬폰, 실크 같은 질감과 유동성있게 드레이프된 우아한 새틴과 저지 원단에도 적합하다.

액세서리의 경우, 부드러운 브라운 색조는 어떤 색상과도 어울릴 수 있으며, "따뜻함과 세련된 고급스러움"으로 모든 앙상블을 완벽하게 가져다 준다. 두꺼운 니트에서 플러시 스카프에 이르기까지 부드러운 색상이 가져다주는 아늑함을 수용하는 반면, 안경, 가방, 금속 주얼리 같이 단단한 액세서리는 광택 또는 무광 마감으로 "고급스러운 세련미"를 도입한다.

헤어와 뷰티는 '모카 무스'의 따뜻한 빛의 다양한 스펙트럼에 걸쳐 각 피부 톤의 내재된 광채를 일깨우고 "새로움과 미묘한 세련미를 제공하고, 럭셔리의 순수하고 유기적인 접근 방식을 촉진합니다." Pantone은 또한 모카 무스가 매트와 광택 잘 적용되는 다재다능한 색조이며, 다른 많은 색상과도 혼합하기에 적합하며, 메탈릭한 마감을 위한 완벽한 베이스 역할을 한다고 덧붙였다.

 

출처 : fashionunited.uk

Z세대, 디지털 리세일 경제의 선구자

Market

Z 세대 기업가 / Credits: Pexels

 

Whop(www.whop.com)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40만 명이 넘는 미국의 10대 청소년이 중고품 판매로 수입을 창출하면서 새로운 10대 기업가들이 온라인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한다.

12~18세 청소년 1,65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보다 자세한 디지털 경제 환경이 드러났다. 의류 재판매가 가장 두드러진 수입원으로 부상했으며, 청소년의 16.69%가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그들의 옷장을 수익화했다.


디지털 수입 스트림

10대들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온라인 수입을 얻고 있다.

  • 의류 및 액세서리 판매: 16.69%

  • 비디오 게임 스트리밍: 10.09%

  • 게임 내 화폐 : 10.79%

  • 게임 토너먼트 상금: 9.20%

  • 상품 리뷰 : 8.75%


시장 동향

중고 시장은 상당한 성장세를 보였다. 선두적인 온라인 시장인 ‘Vinted’는 지난 4년 동안 사용자를 3배로 늘렸으며, Gen Z가 판매 활동을 주도했다.

특히, 10대의 42%가 이제 온라인에서 돈을 벌고 있으며, 이는 젊은 세대가 소득을 얻는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있음을 보여준다. 32%는 의류 리세일을 가장 지속 가능한 디지털 소득의 기회로 보고 있다.


산업 관점

Whop의 최고 성장 책임자 캐머런 주브는 "사람들이 생계를 유지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젊은 세대는 전통적인 고용 모델을 초월하는 기업가적 사고방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이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적극적인 시장 참여자가 되는 새로운 디지털 경제를 강조한다. 진입 장벽이 최소화되어 노트북은 재정적 독립으로 가는 잠재적 관문이 되었다.

Whop의 ‘미국 10대 디지털 수익 보고서 2024’의 핵심은 기술과 경제적 기회의 세부적인 생태계를 보여준다. 데이터에 따르면 평균 10대는 매일 거의 5시간을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할애하며 이는 수동적 소비를 훨씬 넘어서는 디지털 라이프를 강조한다. 미국 10대의 기술 인프라는 거의 어디에나 존재하며, 95%가 스마트폰에 접근 가능하고 90%가 데스크톱이나 노트북 컴퓨터를 가지고 있으며, 83%가 게임 콘솔을 소유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디지털 기업가의 마이크로 분류의 등장이다. 약 625명의 고등학생 중 1명(10대 인구의 0.16%)이 연간 10,000달러를 초과하는 디지털 수입을 창출한다. 이는 온라인 플랫폼을 상당한 수입원으로 전환한 40,000명 이상의 미국 10대에 해당한다. 이 수치는 디지털 네이티브가 온라인과 기술을 활용, 점점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면서 경제 참여가 근본적으로 재구조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출처 : fashionunited.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