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뮤다 더 스토어 아오야마

Special

 

죽은 빵도 살리는 토스터기로 유명한 발뮤다(BALMUDA). 

발뮤다는 군더더기 없는 심플한 디자인으로 인해 한국과 일본에서 두터운 팬층을 보유하고 있는 가전 브랜드이다.

하지만 발뮤다의 핵심가치는 여타 가전제품들과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데 있다. 

토스터기를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맛있게 구워진 빵을 먹었을 때의 기쁨을 전달하는 것, 커피 머신을 파는 것이 아니라 여유로운 주말 아침에 커피를 내리는 행복한 경험을 전하는 것이 발뮤다의 철학이다. 

발뮤다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토스터기 외에도 전기밥솥(BALMUDA The Gohan), 전기 주전자(BALMUDA The Pot), 청소기(BALMUDA The Clea ner), 최근에는 커피 메이커(BALMUDA The Brew), 스마트폰(BALMUDA Ph one)까지 꾸준히 새로운 제품을 선보이며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그럼에도 발뮤다는 제품들을 온전히 체험해 볼 수 있는 체험형 점포가 없다는 점이 의아했다. 발뮤다는 가전 양판점을 중심으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백화점 내에 브랜드 숍을 운영하고는 있지만 애플이나 다이슨처럼 자사가 직접 운영하는 체험형 점포는 없었다. 

그런 발뮤다가 지난 11월 19일, 드디어 플래그십을 오픈했다.

제품을 통해 고객의 체험을 디자인하는 발뮤다가 만든 플래그십 점포는 어떤 모습일까? 제품 개발에 있어 예술성과 디자인을 중시하는 발뮤다의 디자인 철학이 점포에도 드러나 있을까?

<발뮤다의 전 제품을 전시해 놓은 1층​ 쇼룸>

발뮤다 더 스토어 아오야마

‘발뮤다 더 스토어 아오야마(BALMU DA The Store Aoyama)’는 2층으로 구성된 300㎡(약 90평) 면적의 공간으로 매장에 들어서면 길고 커다란 테이블 위에 늘어선 발뮤다 제품들에 자연스럽게 시선이 간다.

눈에 띄는 인테리어로 꾸며져서가 아니다. 오히려 발뮤다 제품을 전시한 테이블과 최근 출시한 스마트폰을 전시한 흰 색의 원형 테이블, 그리고 오븐 레인지 두 대 이외에는 특별한 가구나 장식이 없기 때문이다. 

“우리의 상품을 어떠한 공간에서 보여주면 좋을지 고민하다가 ‘클래식’과 ‘우아함’이 합쳐진 장소를 만들고 싶다고 생각했다. 클래식은 발뮤다의 상품 개발에 있어서도 항상 포함되는 키워드이다.”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미술관에서 작품을 보는 듯한 새로운 점포 체험을 제공 하겠다”고  한 발뮤다의 테라오 겐 CEO의 말처럼 발뮤다 제품들은 이 곳에서 마치 미술관의 작품처럼 전시되어 있다. 

한 가지 더, 공간 내에 어떠한 배경음악이 없다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필자가 방문했을 때는 방문객이 많지 않아서 점포 내부가 매우 조용했고 더욱 미술관 같은 느낌을 받았다. 

발뮤다 제품 중 몇몇은 소리가 제품 경험의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예를 들어, 얼마 전에 출시한 커피 메이커는 커피가 내려지는 동안 메트로놈이 내는 것과 비슷한 똑딱거리는 소리를 낸다. 

바쁜 아침에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 주며, 나를 위한 커피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설렘을 표현한 것 같은 이러한 소리를 무음의 공간에서 온전히 즐길 수 있었다.

제품을 보고 만지는 것을 넘어 제품이 내는 소리까지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공간에 음향을 배제시킨 것은 아닌지 추측해본다. 

콘크리트를 기본으로 만든 점포 1층의 한쪽 벽은 이탈리아에서 들여온 빈지티 벽돌을 아치형으로 쌓아 올렸다. 

이 부분은 로마의 수로를 모방해 만든 교토의 난젠지 수로각(南禅寺 水路閣)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하지만 유심히 살펴보지 않으면 알아차리기 힘들다. 

<2층은 주방가전을 중심으로 체험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토스터와 커피를 맛 볼 수 있는 체험형 공간

1층은 발뮤다의 전 제품을 전시해 놓은 쇼룸인 반면 2층은 주방가전을 중심으로 체험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안쪽에는 프라이빗한 공간이 있어 발뮤다 폰의 계약도 가능하다. 

약 5명 정도가 앉을 수 있는 키친 카운터에서는 발뮤다 토스터기로 구운 빵과 최근 출시한 커피 메이커로 내린 커피를 시음해 볼 수 있다. 

식빵과 크로와상 등 다양한 빵으로 토스터 성능을 소개하고, 발뮤다 밥솥으로 하루에 3번 밥을 지어 시식의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2층은 다양한 이벤트 및 제품을 활용한 워크숍 장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필자도 발뮤다 더 브루(The Brew)가 내려주는 커피를 시음해 보았다. 직원이 커피 메이커의 특징과 어떠한 원리로 커피를 내리는지, 어떻게 맛을 구현하는지 등을 친절하고 자세하게 설명해주었다. 

커피가 내려지는 모습을 눈앞에서 보고 째깍거리는 소리를 들으며 커피를 기다리는 동안 온라인으로는 절대 느낄 수 없는 두근거림까지 경험할 수 있었다.

<프라이빗한 공간이 있어 발뮤다 폰의 계약도 가능하다. >​

출시하는 제품마다 소비자들을 실망시키지 않았던 발뮤다여서 일까. 최근 출시된 발뮤다 폰은 디자인에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필자도 사진으로만 봤을 때는 평범하다고 생각했으나, 실제로 손에 쥐어보니 그립감이 좋았다. 

탑재된 발뮤다 오리지널 앱(스케쥴러, 메모장, 계산기)에 관해서도 설명을 듣고 체험해보니 어떠한 부분에서 고객의 편의성을 높이려고 했는지 잘 이해할 수 있었다. 

테라오 겐 CEO는 패션 스냅(Fash ionsnap)과의 인터뷰에서 “가전 양판점이나 셀렉트 숍 등 판로를 확대해 왔지만, 우리가 직접 관리하는 공간을 오래전부터 갖고 싶었다. 

웹사이트에서 아무리 멋지게 보여도 ‘발뮤다 더 토스터’에서 구운 빵의 맛은 전해지지 않는다. 발뮤다가 출시한 폰의 편리함 역시 체험할 수 없다.

‘체험을 파는’ 발뮤다가 그 체험을 실제로 시험할 기회를 전달할 장소가 없다는 것에 딜레마를 느끼고 있었다. 이제 드디어 자리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플래그십을 오픈한 장소로 미나미 아오야마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세련되고 차분한 분위기가 있는 미나미 아오야마는 원래 좋아하는 곳이다."

"이번 5월에 미나미 아오야마를 걷다가, 이 공간이 비어 있는 것을 발견했고 다음날 바로 관리 회사에 연락해 계약을 체결했다."

"플래그십 점포를 내고 싶어 몇 군데 출점 장소를 후보에 올리고 있었지만 마음에 드는 곳을 발견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 곳은 본 순간 감이 왔다. 인연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체험형 점포에는 예술 작품을 설치하거나,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하거나, 아니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등 고객의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장치를 활용한다. 

하지만 발뮤다의 플래그십에는 예술 작품도,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패널도, 역사를 알려주는 사진 등 어떠한 것들도 없었다. 

발뮤다 제품이 주인공이 되고 소비자는 온전히 제품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은 마치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디자인의 발뮤다 제품을 보는 것과 같은 느낌이었다. 

 

출처 : FASHION POST / www.fpost.co.kr

네이밍은 크리에이티브가 아닙니다

Special

1128e02e55c1d4aa76446ecb1941a6eb_1624772060_4467.jpg
 

네이밍, 브랜드의 가치와 집중하고자 하는것 담아 내야​ 

브랜드를 만들 때 가장 먼저 무엇을 생각하는가? 아마도 네이밍, 즉 이름을 짓는 일일 것이다. 브랜드 이름은 곧 브랜드의 이미지를 대변하는 동시에 거의, 브랜드가 살아있는 한 변경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처음부터 잘 만들어야 한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이 ‘네이밍’에 더욱 심혈을 기울인다.

하지만 간혹 네이밍을 할 때 전략으로 다가가기보다는 ‘크리에이티브’ 관점으로 논하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된다. 

물론 한번 들을 때 뇌리에 꽂히는 것처럼 튀는 이름이 좋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자. 지금 튀는 이름이 10년 뒤에도 색다르게 느껴질까? 급속도로 변하는 트렌드 속에서 튀는 이름은 1년 뒤 그저 평범한 이름으로 전락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네이밍은 어떻게 해야 할까?

브랜드의 컨셉을 먼저 생각하자

앞서서 ‘브랜드 컨셉은 크리에이티브가 아닙니다’라는 글을 통해 브랜드의 컨셉이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고 만들어야 하는지 이야기한 적 있다. 브랜드 컨셉이 브랜드의 생각과 이미지를 함축한 것이라면, 이것을 한 번 더 함축하여 표현하는 것이 바로 ‘브랜드 이름’이 된다.

제목에서는 ‘크리에이티브’가 아니라고 했지만, 이름을 표현할 때는 상상력이 필요하다.

이때 우리 브랜드의 ‘성격’이 어떠한지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잘 노는 아이인지, 똑똑한 아이인지, 아니면 우아한 아이인지. 풍기고 싶은 분위기(Look&Feel)에 맞춰 이름을 정해야 한다. 

 

브랜드의 미래, 중장기 전략을 생각하자 

한 아이가 태어났다. 이제 이름을 지어야 한다. 수명, 재물, 인복 등 미래의 운수를 따져가며 굉장히 신중하게 생각한다. 그리고 부르기에도 좋은 이름, 아 요즘 같은 글로벌 시대에는 영문 표기와 발음까지도 고려하여 고른다. 그렇게 한 아이의 운명을 결정짓는 이름이 탄생한다.

여기서 아이 대신 ‘브랜드’를 넣어보자. 어떠한가? 그리 어색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 브랜드도 하나의 생명과도 같다. 이제 막 태어난 이 아이가 더 길게, 잘 나아갈 수 있는 이름을 짓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렇기에 단순히 크리에이티브 관점으로만 봐서는 안 된다. 이 브랜드가 기업 전체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떤 비즈니스를 견인할지, 향후 어디까지 확장할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비즈니스 업을 넣은 이름은 이름이 다소 추상적이더라도 우리가 어떤 사업을 하는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된다. 사업 초기에 ‘스타벅스’라고만 한다면 사람들은 의문을 가질 것이다.

‘무엇을 파는 곳이지?’라고 되물을 것이며, 브랜드를 설명하기 위한 홍보가 더 필요해진다. 하지만 ‘스타벅스 커피’라고 하면 사람들은 브랜드 이름을 처음부터 외우진 못하더라도 ‘커피’ 파는 곳이라고 인지를 할 것이다. 

두 단계에 걸쳐 설명할 것을 한 번에 알릴 수 있게 된 셈이다.

하지만 이 브랜드는 점점 성장하고 확장하며 커피만 팔지 않게 됐다. 이제는 차(tea)도 팔고, 심지어 맥주도 판다. ‘커피’라고 쓴 이름이 브랜드 성장에 있어 걸림돌이 된다. 

그래서 과감하게 ‘커피’도 빼고 ‘스타벅스’만 남겨 두었다. 사람들은 ‘스타벅스’라고 하면 ‘커피’라고 인지를 하기 때문에 굳이 더 ‘커피’를 붙일 필요는 없다. 

하지만 전 세계에 진출해 있는 매장과 패키지와 소품에 ‘스타벅스 커피’ 대신 ‘스타벅스’만 남겨두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자금과 시간 비용을 지불하게 됐다.

이처럼 우리가 명확하게 한 가지만을 하는 곳이라면 업을 보여주는 이름이 괜찮을 것이다. 삼성전자처럼 말이다. 하지만 패션도 하고, 뷰티도 하고, 생활소품도 파는 곳이라면? 어느 한 가지 카테고리로 이름을 붙이기 어려울 것이다.

앞으로 우리 브랜드가 나아갈 방향, 당장은 아니더라도 어디까지 제품을 확장하고 업을 넓혀나갈 것인지에 따라서 브랜드 이름을 결정지어야 한다.

1128e02e55c1d4aa76446ecb1941a6eb_1624772101_0924.jpg

브랜드 이름은 투표로 결정할 것은 아니다

브랜드 이름의 후보안이 나왔다. 대개는 3개 시안을 두고 고르게 되는데, 이때 가장 흔히들 쓰는 방법이 ‘투표’이다. 전사적으로 투표를 하기도 하고, 블라인드 테스트로 설문조사를 하기도 한다. 

물론 실제 사용성을 가늠해본다는 점에서는 우리 브랜드를 가장 많이 부를 임직원과 고객 대상으로 호감도 조사를 하는 것이 유의미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접하는 것은 오직 ‘이름’ 뿐인가? 우리는 ‘브랜드 이름’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브랜드 이름은 디자인이 된 상태로, 상품에 부착한 후에 접하게 된다. 소비자가 실제로 ‘이름’만 접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런 사용 환경성은 제외하고 이름만 보여주고 선택하라고 했을 때와 디자인이나 제품과 함께 접했을 때, 호감도 차이는 분명히 발생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가능성 있는 이름을 미리 보여주는 것은 곧 ‘유출’의 문제로 직결되기도 한다. 실제로 설문조사를 통해 본 이름을 다른 곳에서 상표 등록하는 바람에 돈 주고 사야 하는 사건도 종종 발생하곤 했다. 

설문조사를 하되 가상의 제품에 얹혀 보거나, 혹은 디자인이 된 상태에서 함께 보여주는 방식이 좋다. 대상자는 유관 부서로 한정 짓는다. 이름의 좋고 싫음은 ‘취향’의 문제이기에 단순히 투표로 ‘좋은 이름’이라고 결정지을 수 없다.

심지어 처음에는 어색한 이름일지라도 계속해서 부르며, 이야기가 쌓여갈 때 브랜드가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상표등록’

자, 어렵게 이름을 만들었다. 이제 로고도 만들었고 자사몰도 만들고 론칭을 앞두고 있다. 그런데 이게 웬걸? 상표 등록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그냥 이대로 오픈을 해야 할까, 아니면 이름을 바꾸어야 할까? 우스갯소리로 가장 좋은 이름은 ‘상표등록이 가능한 이름’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나 역시 이 의견에 매우 동의한다. 아마 브랜드 이름을 한 번쯤 등록해 보려고 키프리스에서 검색해 본 사람이라면 매우 공감할 것이다. 

이 세상에는 우리가 들어본 이름보다도 훨씬 더 많은 이름이 상표로 등록되어 있고, 현재도 등록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상표등록 대기 이름들이 있다. 거의 웬만한 이름들은 다 등록이 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그렇기에 로고 디자인을 하고, 제품에 이름을 부착하기 전에 ‘상표 등록’ 가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안타깝게도 상표 등록은 바로 되거나 가능성을 바로 알기는 어렵다. 수개월이 걸리는 일이기 때문에 상표 등록은 미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론칭 후에 상표 등록 불가판정을 받고 모든 것을 처음부터 다시 준비해야 할 수도 있다. 

상표 등록은 법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전문 변리사를 통해 검토받는 것을 추천한다. 그 전에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이 몇 가지가 있다. 

첫째,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검색해본다. 둘째, 네이버 지도에서 검색한다. 웬만한 상표들은 등록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도메인 검색도 필수다. 브랜드 이름으로 된 도메인이 있을 경우, 상표 등록이 가능해도 도메인 이름으로 쓸 수 없기 때문에 난감한 상황을 겪지 않으려면 대비하자. 

넷째, 키프리스 검색이다. 기술이 필요한 부분이기는 하지만 단어를 검색해 보는 것만으로도 완전히 일치하거나 비슷한 이름은 없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좋은 방법이다.

특히 상표등록은 국내와 국가별로 나뉘기 때문에 수출까지 고려한다면 해당 국가의 변리사와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좋다. 국내와 수출용 이름을 전략적으로 다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면, 해당 국가에도 등록 가능한지 함께 살펴보는 것이 좋다.

네이밍, 브랜드의 핵심을 담아내는 것  

브랜드 이름이 꼭 거창한 뜻을 품고 있어야 하거나 그럴 필요는 없다. 브랜드 전략이나 컨셉에 따라서는 발음이 재미있는 이름이 될 수도 있고, 세상에 없던 이름을 찾다 무작위로 조합한 글자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크리에이티브 역시 브랜드의 컨셉과 맞아떨어질 때 그 힘은 더욱 폭발한다. 

독특한 이름으로 눈길을 끄는 ‘프릳츠’는 별다른 뜻이 없다. 독특한 발음으로 선택한 이름이다. 유별난 이름만큼이나 브랜드 자체가 굉장히 흥미롭다. 사람들은 물개 캐릭터를 좋아하며 프릳츠만이 갖는 브랜드의 매력에 푹 빠졌다. 그 자체로 ‘프릳츠’가 되었다.

커머스 플랫폼 ‘29cm’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가장 적당한 간격이 29cm라고 해서 이와 같은 이름을 붙였다. 가깝지만 방해하지 않는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주는 이름이다. 하지만 이 역시 후에는 ‘커머스 미디어(Comerce Media)’라는 뜻으로 재정의하였다. 이렇듯 처음과 달리 그 의미를 새롭게 부여하기도 한다. 

또 다른 패션 플랫폼 ‘지그재그’는 이름에 그렇게 관심을 가지지 않았지만, 모델 윤여정 배우의 ‘왔다갔다 사는 거지’라는 말 한마디에 모두가 ‘지그재그’의 참된 뜻을 알게 됐다. 소비자 관점에서 그들이 원하는 바를 영리하게 가져와 브랜드의 개성 있는 이야기로 만들었다. 

오프라인 편집숍 ‘스트롤’은 지역 상권을 기반으로 편하게 구경하는 곳이 되면 좋겠다는 마음을 담아 ‘스트롤’, 그리고 독특성을 더하고자 원래 철자를 변형한 ‘strol’이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렇게 브랜드가 하고자 하는 역할과 만든 사람의 염원을 담아 이름을 만들기도 한다.  

결국 브랜드 이름은 크리에이티브가 다가 아니다. 브랜드의 핵심, 즉 브랜드의 가치를 얼마만큼, 어떻게 보여주는 것인지 생각해 봐야 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독특한 브랜드로 기억되게 할 것인지, 우리가 하는 일을 보여줄 것인지, 소비자의 욕망을 품어낼 것인지 우리가 가장 집중하고 보여주고자 하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브랜드 이름은 크리에이티브는 아니지만 우리의 가치를 잘 보여주는 것, 그리고 상표 등록이 가능한 이름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 FASHION POST / www.fpost.co.kr

패션이 스트리밍 광고에 배팅하는 이유

Special

4e24a1aeb981a3458be323b17b162e97_1622439466_4431.jpg
 

훌루와 로쿠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 붐은 패션 브랜드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을 활용하는 것은 단순히 제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의 명성과 가치를 만드는데 더 많은 효과를 보게 될 수도 있다.

지난달 CBD(Cannabidiol) 뷰티 브랜드 로드 존스는 이집트 여왕이 로드 존스 제품으로 편안하게 목욕하는 30초 분량의 영상으로 첫 광고 캠페인을 선보였다. 이 캠페인은 옥외광고와 온라인 네트워크, 케이블 TV는 물론이고, 특히 스트리밍 네트워크에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 브랜드는 HGTV와 CNN 프로그램에 노출할 수 있는 스트리밍 앱 광고를 계약했다. 로드 존스는 스티치 픽스, 더 리얼, 이오스, 달러 쉐이브 클럽 등 스트리밍 서비스에 투자하는 패션 뷰티 그룹에 합류하고 있다.

미디어 메트릭스 오션미디어에 따르면 훌루, 로쿠, 디즈니플러스, 아마존프라임과 같은 플랫폼과 NBC, CBS와 같은 전통적인 TV 방송사들이 출시한 플랫폼은 코로나 기간 동안 시청률이 20% 이상 상승했다.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은 일명 ‘코드 커터’로 불리고 있으며 효율적인 스트리밍 콘텐츠를 선보이며 케이블 채널을 짓밟고 있다.

미국의 4천만 가구 이상이 그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고 한 달에 약 117시간을 시청하고 있다.

 

스트리밍 광고 전쟁 발발

스트리밍 전쟁이 일어나자 플랫폼 광고 효과를 실험하는 광고주들이 몰려들었다. 이러한 광고가 새로운 시청자들에게 다가가고, 그들이 이미 목표로 하고 있는 광고들을 소셜 미디어로 전환시키기를 희망하고 있다.

차이점은 스트리밍 광고는 여전히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포화 상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붐비지 않은 공간이라는 점이다.

스트리밍 플랫폼 광고는 즉각적인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멀리 봐야 한다. 

로쿠와 트위치에 스트리밍 광고를 하는 StockX의 디나 바리 마케팅 책임자는 “TV는 단지 하나의 화면일 뿐이지만 이것은 노트북, 휴대용 장치, 게임 콘솔, iPad, iPhone 등 차세대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채널이 무궁무진하다.

이와 연계한 타겟팅 광고를 진행한다면 강력한 효과를 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록 스트리밍 광고 시장이 아직 초기이지만, 성장까지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다.

전문가들은 브랜드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기 전에 먼저 뛰어들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브랜드들은 스트리밍 광고가 고객 확보보다는 브랜드 인지도 구축에 훨씬 도움인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디지털 광고 대행사 PMG의 나탈리 겔더트는 “스트리밍 플랫폼에 대한 광고는 즉각적인 구매를 유도하지 않는 롱테일 전략이며,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소통에 가깝다”고 말했다.

 

스트리밍 광고의 장점

딜로이트에 따르면 미국 가정의 76%가 적어도 하나의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21년 버라이즌 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47%가 신종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업계 컨설턴트인 브래드 애드게이트는 “넷플릭스는 평판이 높은 콘텐츠로 그 기준을 상당히 높게 잡았고, 이제 스트리밍 플랫폼이 담아낼 수 있는 콘텐츠 수가 최고조에 달했다. 광고주들은 이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드러브의 레베카 트래버조 부사장은 “훌루의 프로그램 ‘Little Fires Everywhere’와 ‘Mrs. America’ 프로그램의 광고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 광고가 방송되었을 때 웹사이트 트래픽이 거의 30% 이상 증가했다. 광고 적중률이 아주 높다”고 말했다.

“우리는 스토리 안에 여성들이 출연하는 프로그램이나 쇼에 광고를 진행한다. 광고가 어디로 가고 누구에게 가는지 의도적으로 집행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다.”

스트리밍 플랫폼의 장점은 쉽게 채널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스트리밍을 하는 사람들은 이미 그 프로그램에 사로잡혀 있고 말 그대로 그곳에 그대로 앉아서 프로그램을 본다. 그들은 완전히 몰입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는 더 좋은 기회가 주어진다.”

바리는 StockX가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광고로 스트리밍 플랫폼 광고를 꼽는다.

특히 새로운 개인정보 보호법이 올해 광고 목표를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스트리밍과 소셜 미디어에서의 광고는 브랜드들이 서로 다른 장소에서 동일하게 보여질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단점도 있다

하지만 소셜 네트워크처럼 스트리밍 서비스에도 여전히 문제가 있다. 애드게이트는 브랜드 광고가 뒤섞인 케이블 TV에 비해 동일한 광고를 재생하려는 포맷의 성향에 시청자들이 쉽게 싫증을 낸다고 지적했다. 

또 브랜드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확보할 수 있는 고객 데이터를 얻지 못한다.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은 많지만 어떤 고객이 이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지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다.

TV는 정기적으로 인구 통계와 시청률 정보를 공유하는 반면 넷플릭스와 같은 플랫폼은 일반적으로 시청률을 비밀에 부치고 있다.

또 스트리밍은 황금 시간대가 없다. 이 공간의 수천만 콘텐츠는 언제든 볼 수 있지만 플랫폼에 국한되어 있다. 반면 TV는 여전히 오스카상과 같은 거대한 황금 시간대를 갖고 있다.

스트리밍 플랫폼들의 강력한 코드 컷팅에도 불구하고, 많은 케이블 방송사들은 스트리밍 플랫폼보다 약 두 배 정도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다.

“스트리밍 플랫폼에 슈퍼볼은 없다.”

 

제품 판매를 통한 스토리텔링

스트리밍 광고는 고객 확보보다는 브랜드 인지도를 위한 도구로 활용된다.

광고기획사 하몬브러더스의 브라이슨 앨리는 “브랜드들이 제품을 팔지 말고 스토리텔링에 이를 활용해야 한다. 프로그램에서는 클릭할 수 있는 링크가 없기 때문에 가능한 한 기억에 남을 만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들어야만 그들이 사이트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이 쇼를 보고 있는 것은 연예인이 되고 싶기 때문이고, 그들을 계속 붙잡아두지 않으면 광고 중에 다른 곳을 보게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StockX는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가치를 높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동안 우리는 제품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 다음에는 실행이 뒤따랐다. 그러나 최근 로쿠에 광고를 진행하면서 더 큰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우리는 스타일링과 인증에 대해 이야기하고 소비자들은 우리에게 그 작업을 맡길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로드존스는 뷰티 브랜드의 이미지를 스트리밍 시청자들에게 전달하기 원했다. 이를 위해 호흡이 거칠어지는 듯한 ASMR과 제품을 뿌리는 소리까지 담아 시청자들이 제품에 대한 감성적인 연관성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우리는 이 혁신적인 목욕 경험의 순간을 포착하고 싶었다. 이러한 광고들은 소비자들을 질리게 하지 않을 것이고, 특별한 느낌을 받게 될 것이다.”​ 

 

출처 : 패션포스트 / www.fpost.co.kr

서스테이너블 해빗 “지속가능의 시작은 우리로부터”

Special

0f500192d047ed1153fb97604df31a66_1620544827_5887.jpg
 

환경을 해치지 않는 패션 비즈니스, 동물 착취 없는 가죽과 퍼, 쓰레기를 재활용한 옷 등 지속가능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들은 많다.

이 방법들을 실현하는 이들의 마음가짐도 천차만별일 것이다. 마케팅 도구로 활용할 수도 있고, 진심으로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으로부터 비롯될 수도 있다.

작년 2월 서울역 건너편, 남산 밑에 문을 연 서스테이너블 해빗은 시작부터 지속가능을 위한 공간으로 마련됐다.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아이템들이 한자리에 모인 이곳은 옷, 책, 공예품, 런드리숍, 세제 리필 스테이션 등 모두 지속가능을 그 안에 담고 있다. 

서스테이너블 해빗을 기획한 유동주 대표는 처음부터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과 주거 문화를 함께 보여줄 수 있는 곳을 찾다가 쉐어하우스를 준비 중인 지인과 함께 이 공간을 기획했다.

1층에는 서스테이너블 해빗을, 2층부터는 쉐어하우스 ‘커먼타운’이 위치해 있다.  

“쉐어하우스와 함께 생태적인 건물을 짓고, 지속가능을 취미로 가진, 관련 아이템을 만드는 분들과 그룹을 만들었어요. 그들이 만든 제품을 한자리에 모으고 커뮤니티를 만들자는 생각으로 이 공간을 기획했죠.”

 

서스테이너블 해빗, 지속가능의 실천

남산이 바로 보이는 넓은 마당을 지나 매장에 들어서면 바로 텀블러 키핑 스테이션이 보인다. 일회용 컵은 전혀 사용하지 않고, 고객들이 편하게 텀블러를 맡겨 둘 수 있는 공간이다.

서스테이너블 해빗에서 운영되는 카페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를 추구한다. 카페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최소화하고 있다. 플라스틱 빨대는 없다. 스테인레스와 대나무 빨때를 사용한다. 매일 소독하고 주기적으로 전문 세척 업체에 맡겨 관리한다.

물론 비용도 많이 들지만, 이미 음료 가격에 포함이 되어 있다. 환경을 지키자는 메시지를 여러 가지로 전달하고 있다.

카페 메뉴도 지속가능한 메시지를 전한다. 시그니처 커피 메뉴인 ‘Vanilla Bear(바닐라 베어)’는 지구온난화로 멸종 위기 동물이 된 북극곰을 떠올렸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 만들었다.

‘Flamingo(플라밍고)’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가 급격히 줄고 있는 홍학을 떠올리게 하는 차다. 앞으로도 이런 메뉴를 하나둘씩 늘리며 멸종 위기 동물을 함께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한다. 디저트 메뉴들도 유기농, 글루텐프리, 비건 같은 환경에 덜 해롭고 건강에 좋은 메뉴들로 구성된다.

이 매장에는 카페는 물론 책방, 런드리숍, 옷, 공예품, 소품, 가방, 세제 리필 스테이션 등 다양한 아이템들이 한 곳에 모여 있다. 이 아이템들 모두 지속가능을 실천하는 사람들의 정성과 뜻이 모여 만들어졌다.

&lt;옷, 가방, 모자, 머플러 등 패션 아이템과 공예품, 소품 등 다양한 지속가능 제품들이 한 데 어우러져 있다.&gt;

<옷, 가방, 모자, 머플러 등 패션 아이템과 공예품, 소품 등 다양한 지속가능 제품들이 한 데 어우러져 있다.>

우리로부터 시작되는 지속가능

서스테이너블 해빗과 이를 운영하는 소셜벤쳐 케이오에이컴퍼니 직원들은 자발적인 지속가능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우리가 지키고 싶은 ‘지속가능 습관 캠페인’을 자체적으로 기획한다. 지속적으로 지속가능한 습관을 기를 수 있는 캠페인을 만들고 먼저 실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지난달 캠페인은 꽃 포장에 사용되는 물품들을 어떻게 줄일 수 있을지 고민하고 방법을 정해 실천하는 것이었다. 꽃 선물을 할 때 화병을 함께 선물하거나, 꽃다발을 만들 때도 어떻게 포장해야 포장지를 덜 쓸 수 있을지에 대한 의견들을 서로 나누고 실천하는 것이다.

또 ‘집에서 안 읽는 책 돌려보기’ 캠페인도 있었다. 안 읽는 책을 하나 가져오면, 비치된 중고책과 교환이 가능한 캠페인으로 안 읽는 책을 최대한 많이 돌려보자는 취지에서 마련되기도 했다.

워크숍도 진행한다. 코로나 때문에 잠시 보류되기는 했지만 천연염색 워크숍과 같은 행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작고 사소한 것들이기는 하지만 하나씩 실천해 나감으로써 이러한 움직임들이 주변 사람들에게 서서히 전파되는 것이 지속가능의 시작이 될 수 있다.”

 

계속되는 지속가능의 시도

지난달에는 세재 리필 스테이션이 새롭게 설치됐다. 세제 용기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역시 환경오염의 주범이기 때문에 이를 줄이자는 취지에서 기획됐다. 준비된 용기를 가져오면 저렴한 가격에 주방세제, 세탁세제, 섬유유연제 등 다양한 세제를 리필할 수 있다.

이를 기획한 플랜드비뉴의 김지숙 대표는 “평소에 갖고만 있던 생각을 실체화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이 설비를 기획했다.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함께 고민하고 실체화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많아져야 한다.

리사이클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금씩 바꿔나갈 수 있는 마중물이 되고자 한다”고 말했다.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가장 심각하다. 생수병과 함께 가장 많은 양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는 생활용품은 리필 형태로 판매되기도 하지만 용기 판매가 압도적으로 많은 상황이다.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PP 소재는 분해해서 재활용할 경우 아주 튼튼한 가구를 만들 수 있다.

문제는 색깔별로 구별작업이 불가능해, 재생된 가구들의 색이 마블링된 것밖에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재활용이 힘든 상황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세재 리필 스테이션은 처음 전자동으로 만들어져 서스테이너블 해빗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0f500192d047ed1153fb97604df31a66_1620545018_9637.jpg

<일회용 컵을 사용하지 않는다. 텀블러를 보관할 수 있는 키핑 스테이션이 마련되어 있다.>

옷의 생애주기를 늘리자

유동주 대표는 패션에 크게 조회는 없지만 옷 선택에 개인적인 철학은 있다. 단색과 단일 섬유로만 된 것만 입는다. 조금이나마 염색에 사용되는 물과 의류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유 대표는 ‘의류 폐기물을 어떻게 없앨 수 있을까? 재고를 남기지 않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라는 고민을 항상 머릿속에 담고 있다.

가장 먼저 적용한 방법은 프리오더다. 재고를 남기지 않고, 선주문을 받은 만큼만 생산하는 것이다. 또 재료를 조금이라도 남기지 않는 3D 니팅 방식을 택하고 있다.

또 기부하는 옷들을 재활용하는 방법도 고안했다. 캐시미어의 경우 동일한 소재를 수거할 수만 있다면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자사 캐시미어 제품을 원활하게 회수하기 위해 자체 앱을 개발했다. 옷에 QR코드를 모두 넣어 회수를 용이하게 하고, 소비자가 옷을 사면 이 옷에 대한 정보와 함께 모든 정보의 조회가 가능하다.

BCG의 조사에 의하면 소비자가 옷을 하나 사서 버리기까지 평생 입는 횟수는 고작 7번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유 대표는 옷의 생애 주기를 늘리기 위해 자사 제품을 20회 입으면 신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쿠폰을 주고, 가지고 있던 옷은 안 입게 될 경우 회수한다. 그렇게 회수된 캐시미어 제품을 재활용해 재생 캐시미어를 만든다.

“수거만 원활하다면 재생 캐시미어를 만드는 비용이, 천연 캐시미어를 채취하는 비용보다 훨씬 저렴하다. 새 제품을 만드는 것보다 입던 옷을 다시 재활용하는 것이 환경에도 훨씬 이롭다.”

캐시미어는 물론 모든 아이템을 종류별로 색깔별로 반납할 수 있도록 앱을 만들어 이달 론칭한다. 제품의 생애 주기를 늘려서 사람들이 자주 입게 하고 종류, 소재별로 회수해 다시 활용하는 서큘러 패션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lt;지속가능에 대해 항상 고민하는 소셜 벤쳐 케이오에이 유동주 대표와 세제 리필 스테이션을 만든 플랜드비뉴 김지숙 대표.&gt;

<지속가능에 대해 항상 고민하는 소셜 벤쳐 케이오에이 유동주 대표와 세제 리필 스테이션을 만든 플랜드비뉴 김지숙 대표.>

동물 학대 없는 ‘르 캐시미어’

유동주 대표가 직접 운영하는 지속가능 캐시미어 브랜드 ‘르 캐시미어’는 동물 학대 없이 털을 수급한다. 

동물의 털을 강제적으로 깎지 않고 빗질을 통해 저절로 빠지는 털만 채취한다. 추운 겨울 동안 자란 속털이 3~4월경 빠지는데 이를 자연스럽게 빗질해서 채취한 것만 사용한다.

털을 강제적으로 깎을 경우 순수한 캐시미어만 채취하기는 쉽지 않다. 털이 섞이면 품질이 좋지 않아진다. 또 깎아서 채취할 경우 털이 두꺼워지고 부드럽지 않아지는 것도 지속가능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일부 캐시미어 농장에서는 대량 생산을 위해 DNA 변형을 통해 양을 기르고 캐시미어를 채취하기도 한다. 이는 전혀 동물 친화적인 방법이 아니기에 스트레스를 주면서 양을 기르는 방법은 동물 학대가 되기도 한다.

초지도 관리한다. 지역을 A, B, C로 나눠 해마다 양들이 이동해 가면서 풀을 뜯을 수 있도록 순환 방목을 한다. 양들로 인해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르 캐시미어’는 수거된 다양한 캐시미어 제품들로 새로운 제품도 준비 중이다.

겉감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만든 원단을 사용하고, 폐캐시미어를 부수어 솜처럼 만든 충전재를 넣은 다운 점퍼를 만들 계획이다. 모두 수거한 캐시미어를 활용해 만들었으며 올 겨울 출시를 앞두고 있다. 

0f500192d047ed1153fb97604df31a66_1620545195_3355.jpg

<새롭게 설치된 세제 리필 스테이션. 플라스틱 용기 대신 공병을 가져와 합리적인 가격에 다양한 세제의 리필이 가능하다.>

지속가능의 확장

서스테이너블 해빗은 남산점에 이어 이달 말 두 번째 매장인 서울숲점을 오픈한다.

서울숲점은 지하부터 지상 4층까지 전체가 모두 지속가능 아이템으로 채워진다. 이 공간은 지속가능 쇼룸과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위해 남산점과 똑같은 목적으로 만들어진다.지속가능에 대한 시도는 여러 방면으로 확장된다.

유동주 대표는 개발도상국의 생산처에서 만들어진 원재료를 확보해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만드는 작업에도 나선다.

“실질적으로 품질은 높지만 그 가치를 평가받지 못하는 개도국의 노동자들에게 정당한 값을 주기 위한 것이다. 몽골 캐시미어는 물론 베트남의 실크, 인도네시아 티크우드 등 여러 가지 아이템을 소싱해 국내에 적정한 가격으로 소개할 계획이다.” 물론 소싱하는 제품은 모두 친환경 제품이다.

“사실 아무리 우리가 지속가능을 외친다고 해도 소비자들의 인식이 한 번에 바뀌지는 않는다. 그러나 우리부터 이 같은 시도를 시작하고, 그 움직임이 서서히라도 퍼져 나간다면 다음 세대, 아니면 그 다음 세대에서라도 환경이 나아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싶다. SF 영화에 나오는 옷들을 보면 터치나 생각에 따라 생상과 디자인이 바뀌는 장면이 나온다. 그런 옷들이 나오기 전까지는 옷으로 환경이 오염되지 않도록 생각을 달리해야 할 것 같다.”​ 

 

출처 : 패션포스트 / www.fpost.co.kr

우리 ‘인스타그램’은 왜 반응이 없을까?

Special

&lt;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Emily In Paris(에밀리 파리에 가다)’는 기성 럭셔리 브랜드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MZ세대들이 좋아하는 가치가 상충하는 내용이다. 마치 우리 이야기 같지 않은가?&gt;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Emily In Paris(에밀리 파리에 가다)’는 기성 럭셔리 브랜드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MZ세대들이 좋아하는 가치가 상충하는 내용이다. 마치 우리 이야기 같지 않은가?>

 

혹시 우리 브랜드 인스타그램 계정이 뭔가 답답하고, 아쉽게 보인다면? 다른 브랜드들은 콘텐츠도 좋고, 자주 올라오는 듯 한데 왠지 우리만 조용한 것 같다면? 잘 나가는 인스타 계정을 보여주며 우리도 이렇게 잘해보자고 하면 마케팅 담당자는 기다렸다는 듯이 “여긴 월 얼마를 쓰고 별도 담당자도 있다.

우리도 관련 예산을 증액해야 한다”고 주장해서 오히려 궁색해진 경험이 있지 않은가. 특히 오프라인 유통에 집중돼있는 브랜드이거나 회사 대표일수록 깊게 공감할 것이다.

불과 20년 전만 해도 온라인 쇼핑에 관해 이야기할 때, 책이나 가전제품 같은 소비재는 규격이 표준화돼있고 상품에 대한 기대감이 동일하기 때문에 온라인 전환이 수월하지만, 옷은 제품마다 소재와 사이즈가 다르고 특히 핏감이 다르기에 온라인으로 구매하기가 어렵다는 이야기가 중론이었다.

하지만 지금 어떤가. 네이버쇼핑, 쿠팡 C-AVENUE부터 라이브커머스까지 온라인 쇼핑은 ‘패션’이 아니면 이야기가 되지 않을 만큼 대세가 됐다.
아울러 인스타그램 패션 브랜드 계정은 오프라인 유통에 맞춰진 우리 브랜드를 디지털로 전환해 보여주는 이정표가 됐으며 고객에게 우리 브랜드를 어필하는 주요 방법이 됐다.


  
잘 키운 인스타 계정 하나, 열 매장 안 부럽다

보통 인테리어 공사비용에 평당 약 350~400만 원 잡으면 20평 기준으로 7~8,000만 원은 나온다. 2년 감가상각을 고려하면 월 300만 원정도 비용이 든다. 그런데도 내셔널 브랜드 운영자 대부분은 오프라인 매장은 매출이 나오니 투자로서 가치가 있지만, 인스타그램은 브랜드 홍보 계정이기 때문에 비용으로 인식한다. 매달 300만 원씩을 홍보비로 지출하기엔 아깝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브랜드 인스타그램 계정은 전 국민이 찾아 들어올 수 있는 매장이다. 한 지역을 기반으로 한 매장은 잘 꾸며놓으면서 전 국민이 바라보는 매장이 조촐해서야 되겠는가.

혹시라도 온라인 매출이 높길 원한다면 퍼포먼스 광고 이전에 인스타그램 계정 운영비를 일단 책정하고 투자하라. 패션은 고객에게 판타지를 심어줄 때 구매 가치가 높아진다.

547d9ef3d7d0f87433fbbab5480ec89a_1617839589_2971.png

인스타그램 계정은 단순한 디지털 룩북이 아니다

오프라인 매장은 일반적으로 매장, 상품, 고객으로 구성된다. 소셜미디어의 브랜드 계정은 크게 콘텐츠와 관계 및 참여, 그리고 페르소나(Persona, 브랜드를 대표하는 인물)로 구성/운영되며, 이는 담당자뿐만 아니라 전 브랜드 담당자들이 챙겨야 할 KPI로 설정돼야 한다.

인스타그램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대부분의 브랜드는 인스타그램을 ‘룩북’의 연장선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은 찾기 어렵지만 시즌이 시작될 무렵 백화점에 가면 매장 DP 테이블에 올려져 있는 룩북을 흔히 볼 수 있었다. 당시에는 시즌마다 1회씩 혹은 매년 2회씩 제작/배포됐다.

그러다 지금은 종이 카탈로그가 아닌 인스타그램에 콘텐츠로 한 장씩 올라가고 있으며 시작과 끝이 분명한 종이 카탈로그가 아니기에 하나로 연결돼있다.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는 채널은 카탈로그(종이)에서 인스타그램(디지털)으로 바뀌었으나 메시지 제작 방식은 동일하다.

여기서 인스타그램 운영의 단순하지만 중요한 첫 번째 어려움이 발생한다. 바로 공급 콘텐츠 수량이다. 이는 오프라인 매장 및 룩북에 맞춰져 시즌 촬영이 기획돼있고 그대로 디지털 미디어에 노출하려해 생기는 문제이다.

브랜드 콘셉트에 따라 다를 순 있지만 대부분의 브랜드가 보여주는 룩북형 인스타그램 운영은 호응을 얻기가 어렵다. 그리고 개인 인스타그램 운영처럼 라이프 스타일형 인스타그램을 운영하고 싶어도 콘텐츠 수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시즌 캠페인을 연 2회 촬영하고도 인스타그램 업로드 콘텐츠 확보에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면 큰 문제가 없겠지만, 만약 캠페인 외 인스타그램 콘텐츠를 만드는 비용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이제 연 2회 시즌 룩북을 촬영하기 위한 공력을 12회로 나누어 1년에 12회 월별 촬영으로 바꾸는 것을 추천한다. 또는 과감하게 계절별 비주얼에서 월별 비주얼 플랜으로 바꿔야 한다. 아니 2주에 1회씩 촬영하는 격주 기획이 나와야 한다. 그래야 살아있는 콘텐츠 플랜이 나온다.

소셜미디어의 본질은 ‘관계 맺기’…인게이지먼트를 높여라

앞서 말한 것처럼 콘텐츠만 잘 만든다고 해서 좋은 인스타그램이라고 할 수 없다. 소셜미디어의 정의를 한번 생각해보자. 이 부분을 명확하게 하지 않으면 계속 헛발질할 수밖에 없다.

소셜미디어(Social media)는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 경험, 정보 등을 공유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생성 또는 확장할 수 있는 개방화된 온라인 플랫폼을 말한다. 다시 말해 고객의 생각이나 의견을 궁금해하고 그들과의 관계를 생성하거나 확장하는 플랫폼이다.

SNS는 본래 일방적인 방식의 ‘나 이렇게 멋진 브랜드이니 동경해줘’라는 인식의 브랜드 홍보와는 태생이 다른 플랫폼이다. 고객 혹은 잠재 고객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브랜드는 대행사와 매주 2~3회, 월 10~15회 콘텐츠를 올리기로 계약 맺는다. 주말에 브랜드 콘텐츠가 올라오지 않는 이유이다. 하지만 고객은 토요일에도 일요일에도 인스타그램에 접속한다. 고객의 문의가 있거나 답변을 달아줘야 하는 형태라면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lt;색상이 짙을수록 고객들의 반응이 높은 시간대이다. 디지털 세상의 고객들은 쉬지 않는다. 낮이고 밤이고 주말이고.&gt;

<색상이 짙을수록 고객들의 반응이 높은 시간대이다. 디지털 세상의 고객들은 쉬지 않는다. 낮이고 밤이고 주말이고.>

솔루션이 있다면 먼저 다가가기, 말 걸기, 찾아보기

‘스노우볼팬더밍’의 저자 박찬우는 SNS상에서 긍정적으로 관계를 맺는 브랜딩 전략을 크게 5단계로 나누었다. △저변 만들기 △지지자 발굴 △지지자 연결 △팬으로 육성 △승급과 보상 순이다.

저변 만들기(Basing)는 고객에게 이야깃거리를 제공하고 자발적 후기를 독려하는 방법이며 지지자 발굴(Digging)은 직접 모집하거나 검색을 통해 발굴하는 방법이다. 지지자 연결은 해시태그와 뉴스레터, 온라인 카페 등을 통해 지지자를 결집하는 과정이다.

인스타그램에서 고객과의 인게이지먼트를 높이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일단 우리의 콘텐츠에 ‘좋아요’를 다는 고객들의 계정에 우리 역시 ‘좋아요’를 눌러주는 것이다. 그리고 댓글을 달아주면 고객들은 자연스럽게 반응한다. 또는 해시태그 검색으로 우리 브랜드를 착용하고 인증하는 고객들과 소통하는 것은 사소하지만 고객과의 관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방법이다.

인스타그램 포스팅은 노출 알고리즘으로도 연결되는데, 올린 브랜드 게시물을 고객들이 광고로 인식하는 경우 반응은 높지 않게 나타난다. 하지만 고객과 관계 형성이 탄탄하게 이뤄지면 고객들은 ‘좋아요’ 및 댓글을 달거나 리포스팅해 본인의 계정에 올리기도 한다.

&lt;출처 : 키워드툴&gt;

<출처 : 키워드툴>

인게이지먼트를 최대치로 높이면 브랜드 팬덤이 생겨난다

마지막으로 인스타그램 계정 운영 관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페르소나’ 창출이다. 페르소나는 개인이 사회생활 속에서 겉으로 드러내는 자신의 본성과는 다른 태도나 성격이다.

우리 브랜드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반길만한 뮤즈 혹은 실제 운영자의 프로필을 공개하고 현실에서 만날 수 있는 캐릭터를 보여주어 관계 형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운영자의 프로필 공개가 부담된다면 가상의 인물을 내세워도 무방하다. 빙그레의 빙그레우스는 이러한 페르소나 창출을 통해 팬덤을 일으켰다.

즉 ‘양질의 콘텐츠가 커뮤니케이션 역량과 합해지면 최대치의 인게이지먼트가 활성화된다. 여기에 페르소나를 얹히면 팬덤이 일어난다’로 정리할 수 있다.

547d9ef3d7d0f87433fbbab5480ec89a_1617839784_6957.png

SNS 운영 성공방정식
(콘텐츠 + 커뮤니케이션 역량) × 페르소나 = 브랜드 팬덤

인스타그램 외에도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카오스토리부터 최근에는 틱톡, 클럽하우스까지 SNS 미디어는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전문가들이라면 뻔히 들을만한 이야기이지만 이제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노력을 기울이는 브랜드 담당자라면, 채널의 다변화와 무관하게 콘텐츠와 인게이지먼트 그리고 페르소나까지 필히 염두에 두고 KPI를 설정해보길 바란다. 아마 SNS 담당자는 당신의 날카로워진 질문에 진땀을 흘리게 될 것이다.

 

출처 : 패션포스트 / www.fpost.co.kr

2021 FW 패션위크 TOP 10 트렌드

Special

스크린샷 2021-03-17 오후 2.39.42.png
 

2021년 가을 컬렉션은 비대면 디지털 패션 주간을 의미한다. 우리가 이번 컬렉션의 다양함에 대해 말해보자면, 표현 방법이 어떻던 간에 우리의 몸에 가깝게 붙어있는 스타일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프라다에서는 모델들이 걸쳐있는 옷을 움켜쥐고 있었고, 드라이스 반 노튼의 댄서들은 가슴까지 내려오는 옷을 잡고 있었으며, 마린세레의 영상과 룩북에서는 친구들과 가족들이 서로를 잡고 있는 이미지를 표현했다. 2010년대 패션을 정의하는 차가운 세련미와 과감한 스타일링은 따뜻함, 함께함, 그리고 기능성으로 대체되었다.

 

Collage Therapy

 

가브리엘라 허스트, 마린 세레, 코치의 스튜어트 베버스와 같은 디자이너들은 사용하지 않는 천 조각들을 함께 패치하여 코트, 드레스, 그리고 상의를 만들었습니다. 이 콜라주 의복은 지속 가능성을 지향할 뿐만 아니라, 스타일을 통한 개인적인 표현에 더 가까운 새로운 미학이라고 할 수 있다.

 

Life Is a Cabaret—Dress for It

 

유럽 전역에 화려함이 고조되고 있으며, 화려하지만 유난스럽지 않게 재등장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미우치아 프라다와 라프 시몬스는 세틴과 술에 승부를 걸었고, 드리스 반 노튼은 태페타 볼륨과 약간의 빈티지한 글리츠를 다시 가져오고 있다. 록의 틴젤과 마르니의 초현실적인 비율이 대세를 이루며, 가을엔 뱀파이어 스타일이 등장할것이 확실해 보인다.

 

One-Piece Wonders

 

캣수드는 만능이다. 톰 포드와 라 콴 스미스의 손에 의해 그것은 가장 섹시하고 가장 아름다운 의복이 되었다. 유한왕, 오톨링거, 마이시 윌렌 등이 세련된 패턴과 기묘한 느낌의 원피스를 선보였고, 에르뎀의 발레 스타일 커버업은 WFH 1주간의 라운딩에 안성맞춤인 것 같다. 취향에 상관없이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2021년 가을 1세대이다.

 

Pleats, Please

 

최근의 파워슈트는 플리츠 스커트와 세트로 변모했다. 3.1 Phillip Lim, Plan C, Schiaparelli의 선택은 파워넘치며 스타일리쉬하고 오피스에 잘 맞는 반면, Chopova Lowena, Colina Strada, Arthur Arbesser는 더욱 대담하게 연출된다.

 

Signs of the Times

 

눈에 띄는 로고 마니아의 인기는 떨어지고 있지만 브랜딩은 여전히 중요하다. Versace는 2021년 가을 컬렉션에서 새로운 종류의 로고, 즉 전체 키 프린트를 선보였고, Givenchy는 연동된 G그래픽으로 전신을 뒤덮었으며, Fendi는 슬립과 스타킹에 예전 FF 로고를 되살려 보여주었다.

 

Pop Princesses

 

밀레니얼 시대의 향수가 극에 달해 잇걸-아우츠 스타일의 시절을 되살리고 있다. Blumarine, Conner Ives, Alyx, 그리고 Roberto Cavalli는 누구나 브리트니, 엑스티나, 머라이어, 2020년대 두아 리파, 파리나 사와야마로 변신할 수 있는 파스텔 미니드레스와 크리스탈 티아라, 그리고 비즈 조각의 형태로 선셋 스트립의 달콤함을 보여주고 있다. "XS"이 딱이다.

 

Wrap Party

 

담요가 옷이 아니라고 누가 그랬는가? 조나단 앤더슨의 정교함은 확실히 이를 가능케 한다. 폰초스와 케이프는 가브리엘라 허스트, 앨버타 페레티, 그리고 미소니에서 부활했다. 스텔라 진은 유엔 농업 기구와 협력하여 그녀의 랩에 공예가들을 고용했다.

 

Ski Bunnies

 

자연은 코로나 유행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피난처가 되어왔다. 다음 겨울이 올 때쯤이면, 우리는 슬로프를 타고 밖으로 나가고 싶은 충동을 실현하게 될 것이다. 미우미우와 톰 브라운은 모두 부풀린 옷들과 액세서리를 매치해 산 정상에서 공연을 펼쳤고, 지방시, 크리스찬 디올, 샤넬은 스키장 스타일의 페어아일랜드 니트 등을 제공했다.

 

Flashbulbs

 

전구처럼 생긴 거품 같은 모양은 일찍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다. 2021년 가을, 실루엣은 부드러운 로미오 지글리 스타일에서 엉덩이와 허벅지에 중점을 둔 펌핑된 오보이드 형태로 바뀌었다. 여성스럽고 보호적인 이 새로운 스타일들은 피부 밀착 실루엣의 유행으로부터 아늑함과 약간의 판안함을 제공한다.

 

Low-Slung Jeans for High-Stress Times

 

추리닝은 영원하지 않다. 발렌시아가, Y/Project, 그리고 떠오르는 런던의 레이블 자와라 앨리네에의 와이드 레그 청바지가 가을의 핵심 룩으로 떠올랐다. 이 널찍하고 튼튼한 바지는 유행 후 우리의 삶에 가장 이상적인 바지가 아닐까?

 

출처 : vogue.com

루이까또즈가 젊은 뮤지션들과 음원을 발매한 이유

Special

1a32f829411c5754407760ee00efaff1_1615090565_8695.jpg
 

가수 박재범이 만든 뮤직 레이블 하이어뮤직은 소속 프로듀서 그루비룸과 함께 작년 6월부터 특별한 음원을 발표했다. 이들은 코로나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 힘들게 살아가고 있는 젊은 세대들에게 꿈과 희망, 용기와 응원을 주자는 취지 음악을 만들었다.

‘FIND YOUR LIGHT’(이하 FYL)라는 이름이 붙은 이 프로젝트는 작년 5월부터 시작돼 지난 2월까지 주기적으로 곡을 발표해왔다. 넉살&던밀스의 색대로살아, 하온의 데이라이트, ph1의 팔레트, 후디의 FOLLOW THE LIGHT, 골든의 플라이, 쿠기의 번(BURN) 등 6곡이다.

하이어뮤직은 곡을 내놓을 때마다 관련 영상을 유튜브에 공개하고, 젊은 친구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소통하기 원했다. 

음원과 함께 티져 영상부터, 음원 스포일러, 출시 이후 인터뷰 영상, 에필로그, 스페셜 에디션 언박싱(unboxing) 영상 등 다양한 볼거리와 재미를 담고 있다. 단순히 재미뿐만이 아닌 힘든 일상 속에서 음악으로 힐링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했다는 평이다.

1a32f829411c5754407760ee00efaff1_1615090586_0142.jpg

희망의 메시지 담은 음악

ph1의 언박싱 영상의 경우 조회 수가 50만이 넘을 정도로 관심을 모았다. 유튜브 총 조회 수 1,934,723회. 좋아요 54,923개. 댓글 4,460개가 달렸다.

후디의 FOLLOW THE LIGHT 영상에 ‘우리 모두 각자 가지고 있는 빛이 다르지만 빛의 오묘함과 현실이라는 어둠 때문에 스스로의 빛을 잃어버리는 것 같아요. 왠지 모르지만 답답했던 마음이 풀리고 편안해져요’라는 댓글이 달리기도 했다.

이처럼 젊은이들을 응원하고 힘을 북돋아 주는 음악 콘텐츠의 뒤에는 의외의 패션 브랜드가 함께하고 있었다. 바로 핸드백 브랜드 루이까또즈다.

1a32f829411c5754407760ee00efaff1_1615090668_8525.jpg

가방 브랜드가 왜?

루이까또즈는 왜 뮤지션들과 함께 젊은이들을 위한 음원을 만들었을까? 사실 그동안 패션 브랜드들은 소셜이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직접적으로 제품을 홍보하고, 연예인 협찬을 통해 그들의 인지도를 빌어 실질적인 매출을 올리는 데만 급급했다. 

그러나 루이까또즈는 당장 매출을 의식한 마케팅이라기보다 젊은 세대들과 소통하고 그들의 언어와 음악으로 접점을 만들고, 그들이 선망하는 아티스트들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방법을 택했다.

직접 나서 하이어뮤직과 계약을 맺고 국내외 팬덤을 가진 프로듀서 그루비룸에게 곡 작업을 맡기고,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힙하다는 뮤지션들과 함께 음원을 만들어냈다.

반응이 좋았다. 소통을 위한 음악 콘텐츠를 통해 그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이들의 음악은 대부분 신나는 리듬의 힙합 장르이다. 클럽에서 흘러나올 법한 비트에 젊은이들이 반응할 수 있는 음악이었지만, 코로나로 인해 음악을 맘껏 틀지도 못했다.

아쉬운 부분도 없지 않았지만 온라인을 통해 음원을 발매하고 그들과 소통했으며, 해외 팬들도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다. 물론 브랜드를 전혀 노출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뮤직비디오 말미에 루이까또즈가 함께 했다는 ‘프리젠트 바이 루이까또즈’ 문구를 넣기도 했다.

1a32f829411c5754407760ee00efaff1_1615090575_9149.jpg

달랐던 소셜 마케팅의 목적

루이까또즈는 뮤지션들을 위한 스페셜 에디션을 만들고 전달하면서 언박싱 영상을 함께 넣기도 했다.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게시물에는 티나지 않게 소소한 해시태그와 캠페인의 목적을 담은 메시지를 전달했다. 특정 상품을 대놓고 알리는 것이 아닌, 뮤지션들을 지원하고 그들과 함께 콘텐츠를 만들어 공유하고 소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가수들 역시 큰돈을 받고 작업에 임한 것이 아니라 좋은 취지를 듣고 함께 하고자하는 마음으로 작업에 참여했다. 브랜드를 알려야 한다는 부담감 없이, 자신들이 하고 싶은 음악을 할 수 있도록 장(場)을 마련한 것이었다. 가수들마다 가사나 음정, 박자는 달라도 톤앤매너는 하나로 통일됐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도 한결같았다.

루이까또즈 관계자는 “기성 브랜드가 젊은 층에게 다가간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들이 좋아하는 것과 문화를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그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를 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천천히 그들과 소통하고, 공유하고, 접점을 찾아가는 중이다”라고 말했다.

 

출처 : 패션포스트 / www.fpost.co.kr

DOOR가 선정한 Top 12 fall 2021 show

Special

prada-po-rf21-full-look-scaled.jpg
 

2021년 가을 패션쇼는 시즌 최고의 쇼들은 위대한 예술가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지난해 세계적인 코로나19의 유행으로 비롯된 패션계의 혼란은 그 어느 때보다 쇼의 존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만들었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들은 이 상황을 기회로 만들기 위해 모두 최선을 다하였다.

많은 브랜드들이 예술가와 함께하는 작업의 의미를 미래를 향한 도약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이번 시즌은 이러한 의미에서 너무나도 미래 지향적이다.

다음은 브랜드의 시즌 컬렉션 뿐만 아니라, 영상과 공간의 예술성, 그 아름다움과 진보적 크리에이티브를 기준으로 한 2021년 fw 탑 12 패션쇼이다.

*알파벳 순으로 나열

 

balmain

 

발망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올리비에 루스테잉은 "목적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어딘가로 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요점은 어디인지가 아니라 실제 목적지인 여행, 출발, 탈출입니다."라고 말했다.

최근 이용률이 저조한 에어프랑스 777의 샤를 드골 공항 인근 비행기 격납고에서 촬영된 루스테잉의 영상과 컬렉션은 곧 어디론가 떠날것에 대한 욕구를 더욱 북돋았다. 피에르 발방의 전후 여행(에어프랑스 여행)에서 영감을 얻은 목베개 귀걸이와 핸드백, 종이비행기 여행가방, 작업용 컴퍼넌트 등의 위트 있는 액세서리들이다.

BAL 021편의 최종 목적지는 마침내 루스테잉 기장이 우리를 지구와 달 사이의 디지털 활주로 플랫폼으로 안내하며 모습을 드러났다. 그는 "현재를 사랑하면서도 더 나은 미래에 대해 매우 흥분하고 있다."고 말했다.

 

Christian Dior

 

옷을 입고 꾸미거나, 심지어 어떤 날에는 거울을 볼 이유도 없이, 지난 한 해는 과부하가 걸린 허영 문화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였다. 이제 우리는 옷장 재정리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 시대의 자아 중심적 사고방식, 즉 "So-Me"는 또 다른 것을 원한다.

집에 국한된 디지털 나르시시즘은 아이폰 캡쳐로 얻은 꾸며진 자화상에서부터, 거울 셀카에 이르기까지 시대를 초월한 매력을 더욱 심화시켰다. 영상 통화 시, 우리는 우리 자신의 섬네일과 끊임없이 마주하게 된다.

디올의 치우리는 이탈리아의 예술가 ‘실비아 지암브론(Silvia Giambrone)’의 작품들을 홀에 늘어트렸다: 거울은 미녀와 야수에나오는 가시들로 가득 차있였고, 반사를 가리기 위한 코팅을 해놓았다.

미녀와 야수의 우울한 허영심은 현대적 상황을 해석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그녀는 18세기 베르사유에서 찰스 페롤트가 재녹음한 이야기들, 신데렐라, 빨강망토, 그리고 잠자는 숲속의 공주와 같은 동화들을 주제로 컬렉션을 층층이 쌓았다.

얼마나 많은 동화들이 소셜 미디어 시대에 반영될 수 있는 나르시시즘과 식탐에 관한 주제를 다루었는지 궁금하다. 우리가 이전의 삶으로 되돌아갈 준비를 하고 있을때, 아마도 그들의 허영심에 대한 이야기는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나는 무서운 원작 동화들이 더 좋습니다. 이것은 젊은이들에게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가르치는 방법입니다," 라고 치우리는 말했습니다.

 

Chloé

 

가브리엘라 허스트의 첫 쇼는 마치 익숙한 두명의 아이들이 눈앞에 나타난 광경을 보는것 같았다. 허스트는 그녀의 클로에 컬렉션을 "아프로디테"라고 불렀는데, 이는 관능적이고 장난기 많은 여성스러움 대 영웅적이고 현명함이라고 할 수 있다. 두 가지 모두 허스트의 상징적 글로벌 청교도주의에 의해 나타났지만 클로에의 부르주아 보헤미안에 대한 그녀의 입장은 본인 브랜드의 수도원적 모더니즘보다 훨씬 더 걸리쉬하며 발랄했다.

현재 파리 통행금지 상황의 기회를 포착한 허스트는, 그녀의 모델들이 클로에 창업자인 고(故) ‘Gaby Aghion’이 그녀의 초창기 수집품 중 일부를 선보였던 Brasserie Lipp에서 나와 생제르맹-데-프레의 자갈길을 가로질러 걸어가는 모습을 영상으로 담았다.

 

fendi

 

펜디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첫 여성 기성복을 위해 킴 존스는 로마의 주택에서 가장 의미 있는 것들을 이야기 하였다.

펜디는 정확히 어디서 시작했을까? 로마 그 자체처럼 이 브랜드에는 디자인, 역사적인 랜드마크, 그리고 매혹적일 정도로 아름다운 풍경들이 가득하다. 또한 로마와 마찬가지로 펜디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모델들은 다수의 조각상들이 흩어져 있는 F자 모양의 공간을 거닐었다. 그 외양은 도시의 브론즈 색상과 펜디의 전통적인 컬러중 하나인 뉴트럴 색조로 되어 있었다.

 

isabel marant

 

위기는 희망을 낳고, 희망은 도피주의를 낳으며, 도피주의는 미래주의를 가져다 준다. 이 말은 이자벨 마랑이 코로나 시대에 자신의 두 번째 여성 컬렉션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했던 단어이다.

마랑은 "최근에는 디자이너들에게 옷을 보여주고 다른 스타일을 표현하는 새로운 방법을 경험할 수 있는 더 많은 시간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점점 더 하나의 트렌드가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패션에 접근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다.

오히려 복고적인 마랑의 미래지향적 전통과 우주선 카우보이들은 그녀에게 미래의 삶을 바꾸는 기술에 대한 80년대의 해답을 떠올리게 했다. 그녀는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를 쇼 초대장으로 보냈다. 재생을 누르자 테이프에 마란트의 목소리가 나오며 이어서 쇼 사운드 트랙이 들린다.

코로나의 한가운데에서도 로봇이 화성에 착륙하는 이 시점에서, 우리의 실제 옷들은 어떻게 미래주의로 바뀌게 될까?

 

loewe

 

조나단 앤더슨은 말했다. "제가 필요로 하는 것이 바로 색채 요법일 것입니다."

여러분은 이미 패션이 시각적으로,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로 여러분을 자극하는 요소라는 것을 알고 있을것이다.; 다시 말해, 패션의 재미와 행복감을 다시 한 번 받아들여야 할 때이다. 적어도 우리 자신을 상상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사람들이 항상 럭셔리 패션을 냉소적으로 보는 것처럼, 엔도르핀을 분비하는 무언가가 여러분을 다시 기분 좋게 합니다,"라고 앤더슨은 말했다. 또한 그는 "저는 사람들이 다시 옷을 입고 외출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하는 데 있어 패션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시즌 컬렉션의 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믿으면 그렇게 될 것입니다."

 

louis vitton

 

게스키에르는 다프트 펑크의 대히트곡 "어라운드 더 월드"의 곡에 맞춰 고대 로마, 그리스, 에트루리아 조각상들과 뒤섞인 곳에 그의 모델들을 위한 런웨이를 만들었다. 컨택하기 어렵기로 악명높은 이 듀오는, 몇 주 전 이 음악을 사용하는 것에 동의했다고 그는 말했다.

또한 이탈리아의 디자인 아틀리에 포르나세티와 공동으로 작업했으며, 그들의 손에서 탄생한 고대 여성들이 모든 종류의 옷과 가죽제품으로 빛을 발했다. 비록 우리 모두 노트북 화면과 스마트폰으로 이 장면을 보고 있었지만, 정말 생동감이 넘치는 쇼였음에는 틀림이 없다.

"우리 모두는 자유롭게 외출할 수 없는 상황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앞으로의 놀라운 여정에 우리의 상상력을 배가시켜야 한다,"라고 게스키에르는 시사회에서 말했다. 2021년 후반의 반전을 기대하며 패션은 완전히 오프라인 지향적으로 변하고 있다.

 

miu miu

 

미우치아 프라다는 산을 좋아한다. 그녀는 디지털 기자 회견에서 패션위크의 가장 멋진 플래시백 상을 수상하며 "어렸을 때, 비키니를 입고 스키를 타러 갔을 때를 기억합니다"고 회상했다. 올 시즌, 그녀의 프라다 컬렉션은 우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패션 사고방식을 보여주었다. 돌로미테스의 코르티나다암페초에 유난히 눈이 많이 내린 것을 알게된 그녀는 미우미우 컬렉션에 아웃도어 감성을 가득 담았다.

문자 그대로의 실내에서 실외복으로의 가장 분명한 전환이었다: 예전 세상에서는 용맹한 사람들을 위한 자기 보호를 위해 옷을 입겠지만, 미우 미우 컬렉션은 그것보다 훨씬 더 계층적이다.

그들은 이 인상적인 영상의 제작에 대해 "어렵고도 용감한 프로젝트"라고 묘사했다. 프라다는 파노라마 촬영과 클로즈업 사이의 대조를 "인간의 디테일과 자연의 웅장함"의 관계라고 말했다.

영상은 눈 속에서 모닥불을 피우는 의식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지난 1년간의 세계가 지나고 다시 모두와 연결된 듯한 자연에 대한 존경을 담은 러브레터같은 이교도적인 느낌이 들었다. "자연은 여러분을 치유하는 유일한 것입니다,"라고 프라다는 말했다. "저는 산에서의 모험을 좋아합니다."

 

prada

 

패션은 지난 12개월 동안 많은 문제들을 당면해 왔으며, 그 참담함은 경제를 넘어 실존적 의문들로 제기되어 왔다. 사회적 상호작용이 없는 세상에서 패션이 중요한가?

라프 시몬스가 미우치아 프라다의 공동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합류한 가운데, 그녀는 Q&A 프라다 발표 후 가진 작은 기자회견에서 "낙관이 고조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변화는 백신과 또 다른 봄이 시작되면서 필연적으로 긍정적 기분이 드는 것, 또는 프라다와 시몬스가 공동으로 찾고 있는 즐거움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번 컬렉션은 패션이 변화하고 있는 시기에 핵심적인 방법론적 쇼케이스였다. 편의성은 우아함의 반전이며, 2021년에는 과거와는 달리 두 가지 모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rick owens

 

2021년 가을은 릭 오웬스와 그의 이탈리아 팀 베네치아 리도의 3번째 시즌으로, 그는 페이스타임 통화에서 "관객 없이 쇼를 하는 것은 일종의 사적인 의식이 되고 있습니다"고 말했다. "달콤한 맛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웹사이트에서 이 쇼의 라이브를 보면서 떠오르는 단어는 달콤함이 아니다. 영화적, 다른 세계관, 그리고 슈퍼히어로가 더 적합하다. 오웬스의 모델들은 리도의 안개 속에서 난파된 우주선에서 나타난 멋진 외계인 부대처럼 보였다.

오웬스는 그의 컬렉션을 코로나 시기의 방호복, 유비쿼터스복과의 편안함과 오트쿠튀르의 웅장함을 융합한 컬렉션으로 바꾸었다. 이번 시즌에는 이 쇼의 클로징룩보다 더 화려한 가운을 찾기 힘들 것이다.

 

Salvatore Ferragamo

 

폴 앤드류는 지난 시즌 루카 과다니노와 함께 작업한 영화 연출을 좋아했었고, 가을을 맞아 그는 그 경험을 재현하고 싶어했다. 이번만은 그가 감독이다.

그는 피렌체에 있는 살바토레 페라가모 본사에서 줌을 하며 "나는 기본적으로 공상과학 영화를 만들었습니다"고 농담조로 말했다. 그의 컬렉션을 보여주는 비디오는 정교한 가상현실과 CGI에서 촬영되었고, 컬트 영화 ‘가타카’에서 영감을 받은 터널, 미래지향적인 도시로 통하는 우주선들, 그리고 유리 프리즘이 빛의 광선을 굴절시키는 원형 플랫폼들이 있었다.

"저는 페라가모 설립자가 그랬던 것처럼 충분히 경계를 넓히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라고 앤드류는 말했다. "그는 놀랍고, 미래지향적인 힘이 있었습니다. 이 컬렉션은 젊은 관객들에게 브랜드를 소개하기 위한 초대장입니다. 살바토레의 사고방식을 수용하는 것이 우리 미래의 핵심입니다."

 

valentino

 

피어파올로 피치올리의 2021 가을 컬렉션은, 코로나19가 시작된 이래로 일반 대중에게는 오픈되지 않았던 밀라노의 역사적인 피콜로 티트로의 무대에 올려졌다. 피치올리는 강당의 어둠 속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일시적으로나마 재개장을 했다는 것은 일종의 펑크 행위"라고 말했다.

발렌티노의 쇼는 시각적으로 강렬한 경험으로, 사치스러운 감정이 겹쳐진다. 그의 접근 방식은 직접적이고, 개인적이며, 진정성이 느껴지며, 컬렉션은 간결하고 날카로웠다. 헴은 거의 실재하는 듯한 몸짓으로 급격히 짧아졌다.

일편단심, 흑백으로 표현되고 가끔 음소거된 금빛이 뿜어져 나오는 작품들은, 피치올리가 그토록 흠잡을 데 없이 만들어온 발렌티노의 쿠튀르 천재의 새로운 명제처럼 느껴졌다.

 

참조 : vogue.com